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북한의 주요 군사 동향: 2024년 평가 및 2025년 전망

상세내역
저자 조장원
소속 및 직함 세종연구소 객원연구위원
발행기관 세종연구소
학술지 세종정책브리프
권호사항 2025(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21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북한   #군사 동향   #2024년   #2025년   #전망   #조장원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 미사일/핵 관련 도발 평가 및 전망
❍ (정찰위성) 북한은 2023년 1/2차 발사시 화성포-15형을 발사체로 사용하였으나 실패, 3차 발사시 화성포-17형을 사용하여 위성의 궤도진입에 성공한 것으로 보도
 - 2024년 5월 24일 정찰위성 4차 발사를 실시, 추진제를 ‘액체산소+케로신’으로 변경한 신형 발사체를 사용했으나 새로운 추진제 체계에 문제가 발생해 실패
 - 앞으로 △ 액체산소 + 케로신 조합의 신형 로켓엔진 개발 △ 고해상도 광학장비 탑재체 등 위성 제작 기술 △ 위성의 정교한 궤도진입 기술 획득 기간을 앞당기기 위해서는 러시아의 기술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
❍​ (극초음속 미사일) 북한은 2021년~2024년간 진행된 5차례의 시험발사를 통해, 비행 활공체의 비행 패턴을 파악하고 비행 데이터를 축적. 2025년 1월의 6차 발사시 △ 활공체 제작에 탄소섬유 복합재료 사용 △ 새로운 유도 체계를 적용하는 등 기술 향상
 - 현재 북한의 개발 단계는 활공체의 비행특성을 파악한 후 유도제어 기술을 접목시키는 단계로, 정해진 목표물에 탄착시키는 정밀 유도제어 기술 획득까지는 상당 기간 소요될 것으로 판단
❍​ (전략 순항 미사일) 북한은 2024년 1월, 개발중인 수중 발사형 순항 미사일인 ‘불화살’ (사거리 약 2천km) 시험 발사를 실시한데 이어, 2025년 1월 ‘해상(수중)對지상 전략 순항 미사일을 再발사
- 현재 전략순항 미사일 자체는 개발 완료 단계에 이른 것으로 판단되며, 앞으로 잠수함 수직 발사 플랫폼 장착 및 전력 운용 방식에 관심을 집중할 것으로 추정
목차
1. 문제 제기

2. 미사일/핵 관련 도발 평가

3. 러북 군사협력 동향 평가

4. 2025 년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