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시리아 정치 변동의 배경과 함의

상세내역
저자 인남식
소속 및 직함 전략지역연구부 부장
발행기관 외교안보연구소
학술지 주요국제문제분석
권호사항 2025(05)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27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시리아   #정치 변동   #배경   #함의   #바샤르 알 아사드   #레반트해방기구   #인남식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 2024년 12월 8일, 바샤르 알 아사드(Bashar al Asad) 시리아 정권이 전복되고 반군 레반트해방기구(HTS: Hyatt Tahrir al Sham, 이하 HTS)가 주도하는 과도 정부가 수립되어 14년간의 내전 및 57년간의 아사드 철권통치가 종식됨에 따라 시리아의 미래에 관한 논의들이 분출하고 있음. 
   - 2024년 11월 말, HTS 등 반군 세력은 시리아 서북부에서 기습 공세를 시작, 알레포(Aleppo), 하마(Hama), 홈스(Homs) 등 시리아 주요 축선상의 도시를 신속하게 점령  
   - 다마스쿠스(Damascus) 함락 위기에 처한 아사드 대통령은 러시아 모스크바로 피신, 시리아 정부의 공식 붕괴 확인 

○ 2011년 아랍 정치변동(아랍의 봄)과 맞물려 당시 다라(Daraa) 지역의 반정부 시위 발생시 정부의 강경 진압과 검속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확산되자, 시위대 중 일부가 무장하여 자유시리아군(Free Syrian Army)를 결성, 14년간 본격적인 내전이 전개됨.
   - 내전 기간 50만 7천 명 이상의 사망자[시리아 인권관측소(SOHR: Syrian Observatory for Human Rights)], 500만 명 이상의 난민[유엔난민기구(UNHCR: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그리고 720만 명의 국내피난민(IDP: Internally Displaced Persons)(UNHCR)이 발생하는 등, 막대한 사망자 외에도 시리아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이 삶의 터전을 잃고 유리(遊離)된 것으로 집계
목차
1. 문제의 제기

2. 아사드 정권의 붕괴 배경

3. 신(新)정부 구성의 동향과 전망: HTS의 성격 변화 여부

4. 한국의 시리아 수교 관련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