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포스트 코로나 시기 북한의 식량난 현황과 전망

상세내역
저자 이지선
소속 및 직함 한반도전략연구실
발행기관 국가안보전략연구원
학술지 이슈브리프
권호사항 (416)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6
발행 시기 2023년
키워드 #북한   #식량난   #옥수수 사재기   #식량 통제   #식량가용성   #식량 수입   #이지선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지난 몇 달 동안 북한이 중국을 통해 쌀과 밀가루를 대량 수입하는 모습이 관측되었다. 부지런히 해외로부터 식량을 확보하는 한편, 북한 당국은 국내적으로도 식량 통제의 고삐를 강하게 조일 태세를 보이고 있다. 2003년 당국이 배급제를 사실상 포기하고 암시장을 일부 합법화시킨 이후, 식량 문제는 개인 생존의 영역이자 시장을 견인하는 주요 부문이었다. 하지만, 김정은 정권이 들어선 이후 식량을 다시 국가 영역으로 가지고 가려는 몇 차례 시도가 있었고, 코로나 통제로 무역과 시장이 쪼그라들자 비로소 국영 식량 유통 제도의 강화 여지가 일부 생긴 것으로 보인다. 이를 기반 삼아 올해 북한 당국은 시장 내 식량거래는 막고, 아직 반쪽짜리 식량배급 시스템인 양곡판매소를 활용해 식량 통치, 즉 양정의 부활을 꾀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작년의 작황 부진으로 이미 위기에 처한 주민들에게는 더한 고통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목차
국문초록

방역 완화 이후 식량문제 최우선시

북 식량 생산량과 부족분에 대한 추정치와 한계

옥수수 사재기 현상

포스트 코로나 식량난 전망: 수입 증대와 유통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