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남북관계 재정립을 위한 ‘전략 커뮤니케이션’ 방향

상세내역
저자 안제노
소속 및 직함 통일미래연구실
발행기관 국가안보전략연구원
학술지 이슈브리프
권호사항 (488)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7
발행 시기 2023년
키워드 #남북관계   #북한   #전략   #커뮤니케이션   #안제노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올해에도 북한은 여전히 대내적으로 사상적 결속을 유지·강화하고 ‘자강론’과‘ 체제안전보장’을 저해하는 대상으로 우리 정부를 지목하고 있다. 우리 사회 내부에서도 평화 지상주의나 정치적 선호에 따른 진영논리가 여전히 존속하고 있으며, 국제적으로는 한반도 문제에 관한 무관심 또는 북한에 동정적 여론을 가진 ASEAN 회원국 일부 국가 및 중남미, 아프리카 일부 국가들도 존재하는 상황이다. ‘전략 커뮤니케이션(Strategic Communication)’의 핵심은 장기적인 전략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정보의 입출(入出) 방법을 조정하는 데 있다. 이는 정해진 대상을 향해 적절한 메시지를 적기에, 그리고 적절한 통로를 통해 전달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으로 국가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로서 ‘전략 커뮤니케이션’의 방향은 광범위 할수 밖에는 없다. 남북관계에 있어서 ‘전략 커뮤니케이션’은 북한 정권 및 북한 주민, 우리 내부, 국제사회를 대상으로 세 가지 차원에서의 접근 방향을 모색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북한 정권과 주민들이 자각할 수 있게 하는 여론전 및 심리전, 우리 국민들의 정부 정책에 대한 올바른 이해 도모나‘가짜 뉴스’ 혹은 왜곡된 보도의 차단, 그리고 국제여론이나 다른 국가의 국민에 의한 지지 및 이해의 확산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대북: ‘핵 강국’ 대응 논리의 개발 및 김정은 업적 부재 공략

대내: 국익과 원칙 기반 정책 및 북한인권문제에 대한 주의 환기

대외: 대외정책 이니셔티브에 대한 정보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