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최근 북한 쌀값 하락의 원인과 전망

상세내역
저자 임수호
소속 및 직함 통일미래연구실
발행기관 국가안보전략연구원
학술지 이슈브리프
권호사항 (49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6
발행 시기 2023년
키워드 #쌀값   #대체곡물   #계절적 요인   #공급 요인   #인당 공급량   #러·우전쟁   #임수호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10월 중순부터 북한 시장쌀값이 단기급락하고 있다. 이는 계절적 요인에 더해 쌀 생산량 증가와 쌀의 ‘동급 대체곡물’인 밀가루 수입량 증가 때문으로 판단된다. 반면 쌀 수입량은 국경봉쇄 완화 이후 장기추세로는 증가했지만 단기적으로는 오히려 감소하여 최근 단기급락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최근 단기급락과 별개로 작년 4/4분기부터 분기별 쌀값이 1년째 장기간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주목된다. 이는 이 기간 쌀 생산량과 수입량, 밀 수입량이 증가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장기하락과 단기급락에도 불구하고 현 쌀값은 여전히 매우 높은 수준이다. 수요-공급간 격차가 여전히 메워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쌀값이 정상적인 수준까지 하락하고 안정화되려면 공급이 뒷받침 돼야 한다. 그러나 북한 쌀 생산량은 정체되어 있는 반면 인구는 계속 늘어 인당 공급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도입량이 획기적으로 늘지 않는 한 현재의 쌀값 하락세는 지속되기 어렵다. 다만, 러·우전쟁이 장기화돼 러시아산 밀·밀가루 수입이 급증하는 경우 상당기간 쌀값 하락세가 유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목차
국문초록

쌀, 옥수수 가격의 동반 급락

계절적 요인과 쌀 생산량 및 밀 수입량 증가가 원인

쌀값 장기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높은 쌀값

쌀값 장기 하락세는 유지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