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통일과 평화를 위한 문화예술 교과목 <북한의 일상과 문화예술> 개발 연구

상세내역
저자 김민수, 이정은, 김미혜
소속 및 직함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학술지 통일과 평화
권호사항 9(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85 - 216
발행 시기 2017년
키워드 #통일문화   #북한문화예술   #북한일상   #대학통일교육   #교양교과목   #김민수   #이정은   #김미혜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북한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와 통일 시대를 대비한 창의적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양교과목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북한 문화예술을학제적 차원에서 이해하고 남북한 접점을 발견함으로써 통일·평화에 대한 문제에 창의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하여 통합된 ‘통일 문화 형성의 창출’을 목표로 한다. 교양 교과목 <북한의 일상과 문화예술>의 개발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기본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문화예술에 대한 구체적 이해를 할 수 있는 내용을 기반으로교과목을 구성한다. 둘째, 북한의 일상을 시각예술 중심으로 문화예술 차원에서 이해하고 남북한 접점을 모색하는 계기를 갖는다. 셋째, 평화통일 및 통일문화에 대한 의식을함양한다. 넷째, 통일 감수성 형성과 문화시민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교과목은 북한의 일상을 이루는 문화예술을 이해해 타문화에 대한 배려심과 포용력을 배양하고,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도 균형 잡힌 시각으로 통일·평화에 대한 점진적이고 창의적 접근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결과로 본 교과목은 대학생들이 역사·문화적 인식을 바탕으로 북한의 일상과 문화예술을 이해하고 독해할 수 있도록 교과목의 강의개요와 세부사항을 제시하였다. 북한의 문화예술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시각예술 분야를 중심으로 6개 분야(민족문화예술, 미술, 도시건축, 산업미술(디자인), 공연예술, 영화)를 선정해 각 주차별 강의 세부계획안과 강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북한 문화예술 교과목 현황

Ⅲ. 통일·평화 문화예술 교과목 개발의 기본 방향 설정

Ⅳ. 통일·평화 문화예술 교과목의 구성 및 운영 방법

Ⅴ. 개발된 교과목 세부 강의안

Ⅵ.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