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코리아문학’의 통일·통합 (불)가능성 : 남북 문학 교류의 역사와 과제

상세내역
저자 김성수
소속 및 직함 성균관대학교
발행기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학술지 통일과 평화
권호사항 10(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5-38
발행 시기 2018년
키워드 #한반도문학   #통일과통합   #남북한문학   #통일문헌   #통합문헌   #한국전국작가대회   #6.15인종문학작가협회   #통일문학   #앞으로문학   #훈련   #통합   #북부한문학   #민족작가대회   #6.15민족문학인협회   #통일문학지   #김성수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글은 ‘4.27판문점선언’(2018.4.27), ‘9월평양공동선언’(2018.9.19)의 문학적 확산이란 문제의식을 가지고 남북한 문학 교류의 역사를 검토하고 향후 과제를 모색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남북 작가·문학의 소통·교류가 시도된 것은 1961, 1989, 2005년 세 차례였다. 4.19혁명 후 북한 작가들은 민족문학의 명분 아래 문학 교류를 제안했으나 5.16 쿠데타로 무산되었다. 1989년 황석영 등의 노력으로 남북작가회담이 적극 추진되었으나좌절되었다. 그때의 교류 계획과 협력의 청사진은 ‘민족작가대회’(2005)와 ‘6.15민족문학인협회’ 결성(2006) 및 기관지 『통일문학』 간행(2008)으로 실현되었다.

하지만 북한의 핵실험과 남한의 보수정권 때문에 더 이상의 교류는 중단되었다. 이제, 평화체제로 가는 길목에 선 2018년의 정세변화에 맞춰, 문학 교류의 ‘계승과 신설 병진’책을 제안한다. 2006 년의 연합조직을 계승하되, 세대교체와 미디어 콘텐츠 변화를 꾀해야 한다. 이때 통일문학, 민족문학이란 개념이 더 이상 사회적 심리적 억압 ‘장치’가 되면 곤란하다. 남북한 문학의 기득권을 버리고 ‘코리아문학의 리부트’가 필요하다. 당위적 통일·통합이 아니라실질적 소통을 위한 전 세계 ‘한겨레 언어문화 자료’의 인터넷망(유튜브 등) 허브 구축이그런 예라 하겠다.
목차
Ⅰ. 문제제기
: ‘4.27 판문점선언, 9월평양공동선언’의 문학적 확산

Ⅱ. 분단·냉전체제에 맞선 통일문학운동
: 남북 문학 교류의 역사

Ⅲ. ‘민족작가대회’(2005)와
‘6.15민족문학인협회’(2006)의 의의 및 한계

Ⅳ. ‘계승과 신설 병진’ 원칙
: 문학 교류·협력 사업의 재개와 진전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