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해방 직후 북한의 과학기술 교육기관 설립과체제형성(1945~1950)

상세내역
저자 김태윤
소속 및 직함 서울시립대학교
발행기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학술지 통일과 평화
권호사항 10(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15 - 155
발행 시기 2018년
키워드 #북한과학기술교육   #흥남공업대학   #평양공업대학   #기술자   #기술원양성소   #기술전문대학   #재북일본인기술자   #기술인력   #교육기관   #김태윤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논문은 기존 북한 국가 형성기 연구들의 이분법적인 경향에서 벗어나 과학기술 교육의 형성 과정에 영향을 끼친 다양한 요소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북한의 과학기술 교육은 식민지 시기의 인적·물적 유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이전 시기와 밀접한 연속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더불어 북한은 소련의 사회주의식 교육체제를 흡수하여 과학기술 교육기관과 정책을 수립하였고, 잔류 일본인 기술자들의 기술 교육으로 인해 빠르게 공장 복구를 이룰 수 있었다.

하지만 이렇게 외부적인 요소만 과학기술 교육 전개에 영향을 끼친 것은 아니었다. 북한은 자체적으로 필요에 따라 새로운 과학기술 교육기관을 설립하고, 교육제도를 변용하였다. 해방 직후 형성되었던 북한 과학기술 교육은 이 모든 것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는 점을 종합적으로이해할 때 그 본질에 더욱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해방 직후 과학기술 교육기관의 설립

Ⅲ. 소련 사회주의교육 시스템의 수용과정

Ⅳ. ‘북한식’ 과학기술 교육의 형성과 성과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