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2021년 김정은 연설 분석과 전망 및 정책 고려사항

상세내역
저자 김호홍, 김진수
소속 및 직함 수석연구위원, 책임연구위원
발행기관 국가안보전략연구원
학술지 전략보고
권호사항 (160)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28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텍스트마이닝   #공개연설   #서한문   #보도자료   #감성분석   #김호홍   #김진수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보고서는 2021년 북한 김정은의 공개연설 및 북한 언론의 김정은 연설 보도문 내용을 R 텍스트마이닝 기법으로 분석, 김정은의 주요 관심사와 정책 우선순위 등을 추정하고 향후 전망과 정책 고려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분석결과 ‘우리’, ‘동지’, ‘인민’ 등 일체감을 강조하는 용어와 ‘사회’, ‘주의’, ‘혁명’, ‘건설’, ‘투쟁’, ‘발전’ 등 이념지향적 및 미래지향적 단어들도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또한, ‘생활’, ‘경제’, ‘살림’, ‘기풍’ 등 경제관련 용어들도 많이 사용하였다. 김정은은 2012년 4월15일 첫 공개연설에서 정통성(인민)과 국방력 강화, 민생・경제, 조국통일 등을 강조하였고, 집권 10주년을 앞둔 2021년 제8차 당대회에서 각 분야 실적을 평가하고 성과를 독려하였다. 2021년 공개연설에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과 내용들이 반영되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북한은 민생경제를 중심으로 하는 내치(內治)에 주력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2022년 들어 미사일 도발을 지속하고 있어 당분간 북미・남북대화 재개 등 관계개선의 돌파구 마련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올해 들어 코로나19 사태가 변곡점을 맞고 있고 남한에 새로운 정부 출범 및 비핵화협상 교착 장기화에 대한 바이든 정부의 부담, 김정은의 인민경제 회생 필요 인식 등을 고려할 때 상황개선의 여지는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확고한 원칙을 바탕으로 강온 양면의 투트랙 전략을 통해 한반도 안보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새로운 남북관계의 패러다임을 정립해 나갈 필요가 있다. 북한의 도발에 대해서는 강력한 국방력과 긴밀한 한미공조를 바탕으로 ‘도발 불용’의 분명한 의지를 보여주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미국 등 국제사회 협력 하에 코로나19 백신을 비롯한 대북 인도적 지원을 추진하고, △대미・대북의 全 방위적인 소통과 관여 및 북한에 대한 ‘남북관계 발전의 비전과 청사진’ 제시 등으로 북한이 도발보다는 협력을 선택하도록 유도해나가야 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s of North Korean Chairman Kim Jong-un's public speech in 2021 and the press release of Kim's speech in the North Korean media using Text Mining with R technique, estimates Kim's major concerns and policy priorities, and presents future prospects and policy considera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erms that emphasize a sense of unity, such as ‘we’, ‘comrade’, and ‘people’, and future-oriented words such as ‘society’, ‘ism’, ‘revolution’, ‘construction’, ‘struggle’, and ‘development’ were accounted for a high frequency.
In addition, economic terms such as ‘living’, ‘economy’, ‘livelihood’, and ‘life style’ also stood out. In his first public speech on April 15, 2012, Kim Jong-un emphasized legitimacy(people), strengthening national defense, people's livelihood, and reunification of the country. It was analyzed that this series of processes and contents were reflected in the public speech in 2021. North Korea is expected to focus on its internal affairs centered on the recovery of the national economy, while externally it will continue provocations, such as resuming missile launch tests. Accordingly, it is not expected that it will be easy to make a breakthrough in improving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for the time being. However, considering several factors, such as the prolonged Corona 19 crisis, the continued fixation of the denuclearization egotiations, and the launch of a new government in South Korea,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room for improvement in the situation. Therefore, we need to stably manage the security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establish a new paradigm for inter-Korean relations through the two-track strategy of hard-line and conciliatory measures. In other words, it would be desirable for us to maintain the principle of not overlooking North Korea's provocations through strong defense capabilities and a strong alliance with the U.S. and to use a humanitarian approach, such as supporting the North with the Covid-19 vaccine.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vision and blueprint for forward communication, inclusion and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guide North Korea to the negotiating table.
목차
Ⅰ. 서론: 연구의 목적과 방법

Ⅱ. 선행연구 검토

Ⅲ. 분석 결과
가. 주요 관심사
나. 핵심 키워드 관련 특이사항
다. 감성 분석

Ⅳ. 전망 및 정책 고려사항
가. 시사점과 함의
나. 전망 및 정책 고려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