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대화의 평화적 구조

상세내역
저자 이찬수
소속 및 직함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학술지 통일과 평화
권호사항 11(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7 - 38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대화   #평화   #의사소통   #전략   #중재자   #회복적   #정의   #이찬수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대화는 상이한 입장들이 언어적으로 합의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이다. 합의 이후그 합의의 내용을 구체화시키는 과정도 넓은 의미에서 대화의 영역에 속한다. 설령 대화가 반드시 합리적 합의와 구체적인 실행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해도, 대화와 합의는 어떤 식으로든 갈등을 줄인다. 갈등이 줄어드는 그만큼 평화도 모습을 드러낸다. 대화참가자들 간의 접점이 갈등을 줄이고 평화를 늘리는 계기가 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평화의 길을 기대하면서, 대화란 무엇이며, 대화가 어떤 식으로평화에 공헌하는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부버(Martin Buber), 가다머(Hans-Georg Gadamer), 하버마스(Jürgen Habermas) 등의 입장을 빌려온다. 특히 하버마스의 주요 이론, 즉 합리적 ‘의사소통’과 자신의 영향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전략’, 그리고 의사소통으로 이루어지는 ‘생활세계’와 전략에 의해 조종되는 행정 영역인 ‘체계’ 이론을 평화적 대화의 과정에 적용해본다. 이러한 대화의 정치사회적 사례로 ‘아일랜드헌법회의’, ‘제네바합의’, ‘7.4남북공동성명’, ‘햇볕정책’ 등의 각종 국내외적 합의들을 각각의 맥락에 맞게 살펴본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북미 대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중재자의 역할은 무엇인지, 그리고 한국이 북미대화의 중재자로 기여하려면 어떤 자세를 지녀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이를 통해 대화가 평화에 기여하는 과정과 논리를 ‘대화의 평화적 구조’ 및 ‘평화의 대화적 구조’ 차원에서 정리한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대화의 정의와 논리

Ⅲ. 소통적 행위와 전략적 행위

Ⅳ. 생활세계와 체계

Ⅴ. 듣기의 평화론

Ⅵ. 숙의민주주의, 아일랜드 헌법회의의 경우

Ⅶ. 대화의 종류와 중재자의 역할

Ⅷ. 북미 대화와 한반도

Ⅸ. 대화의 평화적 구조와 평화다원주의

Ⅹ. 남북공동성명의 의의와 정치적 대화의 한계

ⅩⅠ. 평화의 중층성, 제네바합의와 햇볕정책

ⅩⅡ. 회복적 정의의 평화학적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