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김정은 집권기 국방력 강화정책의 영향과 전망

The Impact and Prospect of the Policy of Strengthening Natinal Defense Capabilities During Kim Jong Un's Reign

상세내역
저자 고재홍
소속 및 직함 책임연구위원
발행기관 국가안보전략연구원
학술지 전략보고
권호사항 (20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16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김정은   #국방력 강화   #북미정상회담   #핵 위협   #체제 불안정   #고재홍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보고는 김정은 집권기 국방력 강화정책과 관련, 자위적 관점이나 군사 기술적 접근이 아닌 ‘정치 수단’이라는 관점에서 국방력 강화의 방향과 영향을 검토하고 전망한 것이다. 김정은 집권기 국방력 강화정책의 중점은 육·해·공의 균형적 발전보다는 전략핵·전술핵 등 핵능력 고도화와 국지전 대비 타격 능력 향상에 집중해 왔다. 이와 같은 국방력 강화정책은 9.19 남북군사합의의 필요성을 가져왔으며, 북미정상회담 개최의 동력이 되었고, 공세적인 핵 위협 전략의 수립으로 이어졌다. 동시에 북한의 민수경제 발전에 제약을 가함으로써 잠재적인 체제 불안정을 심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김정은 집권기 국방력 강화정책은 북한이 전쟁을 선택하기 이전에 한국에 대한 전술핵 위협을 통해 미국의 대북 접근을 유도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것이며 과도한 국방비 부담의 지속은 해외국가 사례의 경우처럼 체제 불안정으로 전개될 개연성도 있다.

This report reviews and predicts the direction and impact of strengthening defense capab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means” rather than a self-defense or military technological approach in relation to strengthening of defense capabilities during Kim Jong-un's reign. During Kim Jong Un's reign, the focus of the policy to strengthen national defense capabilities has been on upgrading nuclear capabilities such as strategic and tactical nuclear weapons and improving batting capabilities in preparation for local battles rather than on balanced development of the army, navy, and air force. Such a policy to strengthen defense capabilities brought about the necessity of the September 19 inter-Korean military agreement, becam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North Korea-U.S. summit, and led to the establishment of an offensive nuclear threat strategy. At the same time, it is a potential factor of system instability by imposing restrictions on North Korea's civilian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Kim Jong-un's policy to strengthen his defense capabilities will be used as a means to pursue the third U.S.-North Korea summit through tactical nuclear threats against South Korea before North Korea chooses war, and the continued burden of defense spending will likely develop into instability as seen in overseas cases.
목차
I. 문제 제기

II. 김정은 집권기 국방력 강화정책의 중점방향
1. 핵능력 고도화
2. 국지 제한전 대비 타격 능력 강화

Ⅲ. 김정은 집권기 국방력 강화정책의 영향
1. 핵 군사전략의 수립
2. 미국의 대븍 접근 유인
3. 남북군사합의의 필요성
4. 잠재적 체제 불안정의 심화

Ⅳ. 전망: 대남 핵 위협과 한미동맹 약화 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