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포스트 코로나 시기 북.중 경제 관계 전망 및 한반도 정세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e DPRK-China Economic Ties and their Impact on the Korean Peninsula

상세내역
저자 정은이
소속 및 직함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발행기관 동아시아연구원
학술지 논평·이슈브리핑
권호사항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6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남북 관계   #한반도   #북한 비핵화   #통일   #정은이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북한에서 ‘코로나야말로 진정한 제재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사실상 코로나-19로 인해 경제가 어려워진 것이 사실이다. 이는 비단 북한만이 아닌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북한은 국경봉쇄 조치를 통해 코로나-19에 대응하였으나 이로 인해 북‧중 무역 규모가 약 80% 이상 급감하기에 이르렀다. 문제는 외부 충격으로 인해 한 국가의 무역 규모가 80% 이상 급감한다는 사실은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국가 경제 위기를 불러올 만큼 긴박한 상황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해 북한 경제가 어려워진 것은 사실이지만 식량이나 에너지 관련 물가 폭등 현상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다시 말하면 최소 주민 의식주에 한해서는 큰 소요 사태가 보이지 않고 있다. 물론 해상봉쇄에 의해 수산물가격이 일시적으로 폭등한 적이 있으며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밀가루나 콩기름, 설탕 등이 코로나-19 기간 동안 가격이 2~3배가량 폭등하는 현상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입 물자는 사탕이나 과자 등을 만드는 데 투입되는 중간재에 속한다. 무엇보다 경제가 위기라면 환율이 폭등해야 하지만 오히려 하락하고 있다. 반대로 원화 강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The COVID pandemic has significantly heightened the economic problems facing the North Korean economy as there is a saying that “COVID is the real sanction.” This is a global phenomenon, not limited to North Korea. North Korea responded to COVID-19 through a border blockade, but as a result, North Korea’s trade with China plunged by more than 80%. In general, a decline in trade volume by more than 80% due to external shocks can be critical enough to cause a national financial crisis under normal circumstances. Although North Korea's economy suffered its biggest contraction in the pandemic situation, there has not been a surge in food or energy-related prices yet. In other words, there is at least no significant social unrest regarding the residents’ food, clothing, and shelter. The price of marine products temporarily soared due to the naval blockade. And, the prices of flour, soybean oil, and sugar, which are completely dependent on imports, skyrocketed by 2-3 times during the pandemic. Meanwhile, these imported supplies are used as intermediary goods to make candy and confectionery. Above all, if the North Korean economy is in a crisis, its exchange rates should be rising. Conversely, the exchange rate has decreased, with an appreciation of the North Korean currency (won).
목차
코로나 19시기 북한 경제

코로나 19시기 북‧중 무역을 둘러싼 쟁점 4가지

포스트 코로나 시기 북중 경제 관계 전망과 남북관계에 주는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