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북한의 8차 당대회 이후 노동당 인사개편 평가

상세내역
저자 한기범
소속 및 직함 객원선임연구위원
발행기관 아산정책연구원
학술지 이슈브리프
권호사항 2025(17)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25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김정은   #노동당 인사개편   #북한   #중앙당   #중앙위원   #친인민 시책   #한기범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글은 2021년 8차 당대회 이후 4년여 기간 북한의 노동당 간부 인사개편을 종합 분석한 글로, 북한의 최고 정책 결정 및 관리 기구인 당 정치국과 비서국 구성원 부침 분석을 통해 김정은의 용인술, 체제 관리 방식의 특징을 평가하고 권력 구조 변화 가능성을 전망했다. 지난 4년간 북한 노동당은 6개월 주기로 당 전원회의를 통해 매번 중폭의 인사 교체를 단행했는데, 교체가 빈번한 직책은 정치국 위원급에서는 군정‧군수비서와 경제비서로 예하 조직 지휘 소홀 및 경제관리 실패가 귀책 사유였다. 정치국 후보위원급에서는 당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선전‧간부‧규율부서 책임 당료 교체가 빈번했다. 중앙당 외부에서의 진입 가능성은 매우 낮았다. 소수의 내각 전문 관료와 공안 기관 책임자에게 열려있을 뿐, 내부 승진과 정치국과 비서국 직위 겸직이 일반화된 폐쇄성을 보였다. 여기에는 친소 관계에 따라 인물을 등용하는 성향이 있는 김정은의 ‘낯가림’도 작용했다. 
이와 같은 인사개편을 종합해 볼 때 김정은 용인술의 특징은 조용원 조직비서 등 핵심 그룹 중심의 폐쇄적 중앙당 관리, 전문성보다 충실성 중심의 권력 엘리트 충원, 정책 개발보다는 조정‧통제 기능 활성화, 김정은의 선호에 따른 회전문 인사 빈번으로 요약된다. 그 결과 8차 당대회 이후 북한의 권력 구조는 선당정치가 정착되고 당의 조정‧통제 기능이 유효하게 작동되어 김정은의 권위는 제고되어 유일 지배를 가능하게 했다. 한마디로 다소 과장한다면 김정은은 조용원 덕분에 핵미사일 고도화에 집중할 수 있었다.
목차
노동당 중앙당 인사개편
1. 당 중앙위원 교체
2. 당 정치국 개편
1) 정치국 상무위원 변동
2) 당 정치국 위원 변동
3) 당 정치국 후보위원 변동
3. 당 비서국 개편
1) 당 비서국 직제‧인사 변동
2) 당 비서국 운영 평가
4. 노동당 핵심 당료 6인 분석

8차 당대회 이후 권력구조 운용 평가
1. 8차 당대회 이후 인사 개편의 특징
2. 8차 당대회 이후 권력구조 운영의 특징
3. 9차 당대회 인사개편 전망

정책적 시사점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