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과정 평가와 향후 정책 방향

상세내역
저자 신범철
소속 및 직함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발행기관 세종연구소
학술지 세종정책브리프
권호사항 2025(16)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16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전시작전통제권   #전작권 전환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   #북한   #핵·미사일   #신범철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의 핵심 내용은 첫째, 연합방위 주도를 위해 필요한 군사적 능력, 둘째, 동맹의 포괄적인 북한 핵·미사일 위협 대응 능력, 셋째, 안정적인 전작권 전환에 부합하는 한반도 및 역내 안보 환경 세 가지임.
현재 전작권 전환 과정에서 ‘연합임무필수과제목록(CMETL)’의 평가 기준을 토대로 각 조건을 주기적으로 평가하며 한국군이 필요한 역량을 갖추었는지 확인하고 있음.
- 기본운용능력(IOC, Initial Operational Capability) 평가: 미래 연합사의 주요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최소한의 군사능력 평가로 지난 2019년 8월에 평가가 이루어짐.
- 완전운용능력(FOC, Full Operational Capability) 평가: 미래 연합사의 주요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갖추었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2022년 8월에 평가가 이루어짐. 현재 FOC에 기반하여 부족한 사안을 충족하는 노력이 전개 중.
- 완전임무수행능력(FMC, Full Mission capability) 평가: 미래 연합사의 모든 주요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충분한 군사능력을 갖추었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아직 구체적인 일정은 미정.
목차
1. 문제의 제기

2.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추진 과정 평가

3. 전작권 전환 환경 변화와 향후 시나리오

4. 정책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