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국제 다중분쟁에 대응하는 미국의 리더십 양상과 전망

상세내역
저자 정승철
소속 및 직함 국립부경대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발행기관 제주평화연구원
학술지 JPI PeaceNet
권호사항 2024(08)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12
발행 시기 2024년
키워드 #국제 다중분쟁   #미국   #전쟁   #핵   #규칙에 기반한 국제질서   #정승철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오늘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이외에도 중국-대만 관계, 남북관계, 북한 핵, 이란 핵, 이스라엘-이란 관계, 홍해 지역 해적 문제 등 세계 곳곳에서 다수의 분쟁이 벌어지고 있다. 냉전 종식 이후 1990년대부터 세계 단일패권국에 등극했던 미국은 2000년대, 2010년대를 겪으며 그 국력이 (상대적으로) 쇠퇴하고 있다. 반면 중국, 러시아를 비롯한 경쟁국들은 같은 기간 동안 빠르게 성장하며 미국이 구축, 운영해 온 “규칙에 기반한 국제질서”에 도전하고 있다. 이에 현 바이든 정부는 동맹, 유사입장국(like-minded)과의 연대를 통해 현 국제질서를 유지하고자 한다. 즉, 미국은 자신이 여전히 자유주의 진영의 리더 역할은 맡되 역할과 부담은 동맹국과 분담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미국의 동맹, 유사입장국들의 경제성장과 군비지출 규모가 정체되어 있다는 점에서 과연 미국이 바라는대로 이들과의 부담 분담이 가능할지는 의문인 상황이다. 이는 동맹, 유사입장국과 자유주의 국제질서를 지키는 부담을 분담하고 싶으나 현실적으로 미국이 계속해서 가장 큰 기여를 해야하는 상황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또한, 동맹, 유사입장국들이 미국의 리더십에 동조하도록 유인하기 위해서는 미국이 경쟁국(중국, 러시아 등)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에 전자가 피해를 입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나아가, 미국의 리더십과 안보공약에 대한 신뢰를 잃을 경우 동맹, 유사입장국은 자신의 안보를 위해 자조(self-help)를 택할 것이고 이는 지역의 안정과 평화를 저해하는 선제 도발 행위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미국은 동맹, 유사입장국들과 부담은 분담하되 미국의 안보공약에 대한 신뢰를 높여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목차
[초록]

서론

2024년 현재 미국이 대응 중인 국제 다중분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러시아 견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대만중국 갈등과 중국 견제

국제 다중분쟁과 경쟁국에 대응하는 미국의 정책

국제 다중분쟁과 경쟁국에 대응하는 미국의 국력상황

국제 다중분쟁에 대응하는 미국의 리더십 양상과 전망

'규칙에 기반한 국제질서 를 유지하고자 하는 미국의 리더십에 대한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