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조선시대 문헌 분석을 통한 포유동물 분포 복원과 남북한 협력 방향

Reconstruction of Mammal Distribution through Analysis of Historical Documents of the Joseon Dynasty and Direction of Inter-Korean Cooperation

상세내역
저자 구경아, 김다빈
소속 및 직함 한국환경연구원 연구위원, 에코맘코리아 선임연구원
발행기관 한국환경연구원
학술지 사업보고서
권호사항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157
발행 시기 2023년
키워드 #조선시대   #문헌 분석   #포유동물   #남북한   #협력 방향   #구경아   #김다빈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한반도의 수리적지리적 특성은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기에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
- 북반구 중위도 유라시아 대륙 동안에 위치해 있을 뿐만 아니라 남북으로 길게 뻗은 반도의 모양으로 다양한 기후적 환경이 나타나 생태적 점이지대의 역할
- 한반도 전체 면적의 약 70%가 산지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북동부의 백두산부터 남부의 지리산까지 높은 산줄기로 이어진 백두대간은 여러 포유동물이 서식하기에 적합
한반도의 역사적사회적 분단 상황으로 생태학적 연구의 한계 발생
- 분단으로 인한 생물의 이동 및 분포 단절이 발생하여 한반도 규모의 종합적인 생태학적생물학적 연구에 어려움
- 남북 간 직접 방문을 통한 현지조사에 한계가 있어 북한의 자연 및 생태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한 현황 분석 불가
생물다양성 증진에 대한 국제적국내적 요구 확대
-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Kunming-Montreal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및 나고야 의정서 등 생물의 지속성과 현황 등에 대한 구체적 조사 필요
- 한반도 내 약 10만 종의 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개발, 도시화 및 산업화, 서식지 파괴, 과도한 밀렵, 기후변화 등으로 많은 동식물이 멸종위기에 처해 있어 이에 대한 복원 및 복원에 대한 요구가 증대
목차
요 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수행 체계

제2장 조선시대 포유동물 공물 및 DB 구축
1. 조선시대 포유동물 관련 지역별 기록자료 수집
2. 조선시대 포유동물 종류 DB 구축
3. 조선시대 포유동물 공물 기록 기반 분포 복원

제3장 조선시대 시대별 포유동물 분포 분석
1. 조선시대 도군현 단위 시대별 포유동물 분포 분석
2. 조선시대 한반도 포유동물 분포의 시대별 변화
3. 조선시대 시대에 따른 포유동물 종류의 지역별 다양도
4. 조선시대 고문헌 기반 포유동물 분포 복원의 의의 및 활용방안

제4장 조선시대 멸종위기 포유동물 분포 특성변화 분석 및 보전을 위한 남북한 협력
1. 멸종위기 포유동물 조선시대 분포 복원 및 특성
2. 멸종위기 포유동물 보전을 위한 남북한 협력 방향 모색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