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수리적지리적 특성은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기에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
- 북반구 중위도 유라시아 대륙 동안에 위치해 있을 뿐만 아니라 남북으로 길게 뻗은 반도의 모양으로 다양한 기후적 환경이 나타나 생태적 점이지대의 역할
- 한반도 전체 면적의 약 70%가 산지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북동부의 백두산부터 남부의 지리산까지 높은 산줄기로 이어진 백두대간은 여러 포유동물이 서식하기에 적합
한반도의 역사적사회적 분단 상황으로 생태학적 연구의 한계 발생
- 분단으로 인한 생물의 이동 및 분포 단절이 발생하여 한반도 규모의 종합적인 생태학적생물학적 연구에 어려움
- 남북 간 직접 방문을 통한 현지조사에 한계가 있어 북한의 자연 및 생태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한 현황 분석 불가
생물다양성 증진에 대한 국제적국내적 요구 확대
-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Kunming-Montreal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및 나고야 의정서 등 생물의 지속성과 현황 등에 대한 구체적 조사 필요
- 한반도 내 약 10만 종의 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개발, 도시화 및 산업화, 서식지 파괴, 과도한 밀렵, 기후변화 등으로 많은 동식물이 멸종위기에 처해 있어 이에 대한 복원 및 복원에 대한 요구가 증대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