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러시아의 동북아 에너지 전략과 한-러 신협력 방안: 천연가스와 수소 분야를 중심으로

상세내역
저자 박정호, 강부균, 김석환, 권원순, 안드레이 코브시
소속 및 직함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 러시아유라시아팀장, 전문연구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초빙교수, 경제학부 교수, 상트페테르부르크국립대학교 교수
발행기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학술지 KIEP 정책연구 브리핑
권호사항 22(18)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15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러시아   #동북아   #에너지 전략   #천연가스   #수소   #박정호   #강부균   #김석환   #권원순   #안드레이 코브시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한국은 저탄소와 기후변화 등과 같은 에너지 전환, 북한 핵 문제 해결과 남북관계 개선을 통한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체제 구축이라는 시대사적 도전과제에 직면해 있음.
- 에너지 대전환의 시대 자원 수급의 다각화 및 안정화, 한반도와 러시아의 경제적 연계성 강화를 통한 북방정책의 내실화, 미래 청정에너지(신재생, 수소 등) 개발에 근거한 신성장 동력 구축 등 전략적 차원에서 대러 에너지 협력의 가치와 중요성을 재인식할 필요성이 있음.
현재 새로운 에너지 패권 지도는 지정학, 셰일 등의 신기술 개발, 그리고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이라는 세 방향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그려지고 있으며, 러시아도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있음.
- 러시아의 ‘에너지 전략 2035’는 수소 경제 대응전략,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국제 에너지 정세에 대한 분석, 러시아 에너지 생산단지(complex)의 지리적 전환과 아태 지역으로의 수출 비중 증대, 러시아 에너지 산업의 기술 자립 등을 포함하고 있음.
한국과 러시아 간의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을 위해 상호간 에너지 협력에 대한 관심 증대와 실질적 성과 도출은 매우 중요한 사안임.
- 국제 에너지 시장의 주요 이슈와 환경 변화, 러시아 에너지 전략 2035의 주요 내용과 핵심 특징, 한국의 새로운 에너지 정책 방향을 반드시 고려해 양국간 미래 에너지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적 접점 및 연계 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新에너지 동반자(New Energy Partnership)’ 협력 협정 체결, 대러 에너지 협력 거버넌스 활성화 및 기능 강화, 전통 및 신규 분야에서 에너지 협력 방안 모색, 에너지와 다른 산업 부문과의 연계 협력 방안 구상, 에너지 대전환 관련 새로운 협력 방안 마련 등이 필요함.
목차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조사 및 분석 결과

3. 정책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