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2023년 한·미·일 양자 및 3자 정상회담 평가와 과제

상세내역
저자 홍현익
소속 및 직함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발행기관 세종연구소
학술지 세종정책브리프
권호사항 2023(08)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31
발행 시기 2023년
키워드 #한·미 정상회담   #한·일 정상회담   #히로시마 한·미·일 정상회담   #대북 핵 억지   #홍현익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고는 4월 26일 한·미 정상회담, 5월 7일 한·일 정상회담, 그리고 5월 21일 히로시마 한·일 및 한·미·일 정상회담을 검토하고 국가전략 목표인 국가안보, 경제발전 및 평화통일이라는 기준으로 평가한 뒤, 동북아의 신냉전 구도가 강화되는 가운데 양 진영 대립의 최전선에 위치한 한국의 국익을 최대한으로 증진하는 길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자 함.
한·미관계를 강화하여 대북 핵 억지를 확고히 보장하고, 한국의 경제 이익을 증진하며, 중국과 러시아와의 관계에서 불이익을 당하지 않을 뿐 아니라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면서 경제 발전, 북핵문제 해결, 평화체제 구축 및 평화통일로 나아가는 정책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윤석열 대통령은 워싱턴에서 국빈 행사와 회담 및 연설 등을 통해 자유와 인권을 강조해 미국인들과 공동의 가치를 지향한다는 것을 능동적으로 보여주어 한·미 정상 간 신뢰를 돈독히 하고 양국간 공감대를 제고함.
한·미 양 정상은 핵협의그룹(NCG, Nuclear Consultative Group) 창설과 전략핵잠수함 기항을 골자로 하는 미국의 한국에 대한 확장억제를 강화하는 별도의 문서를 채택함. 단지 북한의 핵 위협은 구체적이고 현실적인데 미국의 보장은 추상적이어서 향후 그 내용을 구체화하고 실효적으로 실천하며 NCG를 내실있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여러 과제들이 남아 있음.
윤석열 대통령이 미 의회 연설에서 갈채를 보내는 미 의원들에게 한국의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기업들의 고충을 덜어달라고 당부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활용하지는 못한 것은 아쉬운 점임.
목차
핵심요약

Ⅰ. 문제 제기

Ⅱ. 한·미 정상회담(23.04.26) 성과 평가

III. 한·일 정상회담(23.05.07) 성과 평가

IV. 히로시마 한·미·일 정상회담(23.05.21) 성과 평가

Ⅴ. 향후 과제와 한국의 대응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