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4월 26일 한·미 정상회담, 5월 7일 한·일 정상회담, 그리고 5월 21일 히로시마 한·일 및 한·미·일 정상회담을 검토하고 국가전략 목표인 국가안보, 경제발전 및 평화통일이라는 기준으로 평가한 뒤, 동북아의 신냉전 구도가 강화되는 가운데 양 진영 대립의 최전선에 위치한 한국의 국익을 최대한으로 증진하는 길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자 함.
한·미관계를 강화하여 대북 핵 억지를 확고히 보장하고, 한국의 경제 이익을 증진하며, 중국과 러시아와의 관계에서 불이익을 당하지 않을 뿐 아니라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면서 경제 발전, 북핵문제 해결, 평화체제 구축 및 평화통일로 나아가는 정책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윤석열 대통령은 워싱턴에서 국빈 행사와 회담 및 연설 등을 통해 자유와 인권을 강조해 미국인들과 공동의 가치를 지향한다는 것을 능동적으로 보여주어 한·미 정상 간 신뢰를 돈독히 하고 양국간 공감대를 제고함.
한·미 양 정상은 핵협의그룹(NCG, Nuclear Consultative Group) 창설과 전략핵잠수함 기항을 골자로 하는 미국의 한국에 대한 확장억제를 강화하는 별도의 문서를 채택함. 단지 북한의 핵 위협은 구체적이고 현실적인데 미국의 보장은 추상적이어서 향후 그 내용을 구체화하고 실효적으로 실천하며 NCG를 내실있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여러 과제들이 남아 있음.
윤석열 대통령이 미 의회 연설에서 갈채를 보내는 미 의원들에게 한국의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기업들의 고충을 덜어달라고 당부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활용하지는 못한 것은 아쉬운 점임.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