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대 중화민국(대만) 총통을 선출하는 총통선거(大選)와 제11대 입법위원 선거가 2024년 1월 13일(토) 실시됐다. 소위 ‘선거의 해’인 2024년 역내에서 치러지는 첫 번째 선거이자, 대만섬의 지정학적 가치, 반도체 공급망 안정성 확보, 이데올로기와 가치의 경쟁 등 여러 요소가 중첩되는 대만 총통선거에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었다.
선거 결과, 민진당의 라이칭더(賴清德)·샤오메이친(蕭美琴) 후보가 40.1%의 득표율로 제16대 대만 총통·부총통에 당선되었으며, 제11대 입법원은 국민당 52석, 민진당 51석, 민중당 8석으로 구성된 여소야대 정국이 만들어졌다. 대만은 1996년부터 총통 직선제를 실시했으며, 이후 중국이 아닌 ‘대만 정체성’을 주장하는 민진당과 중국 본토와의 협력 및 통일을 지향하는 국민당의 거대양당이 권력을 분점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대만선거의 판세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은 ① 후보에 대한 미국의 신뢰와 ② 양안 관계에 대한 당과 후보의 인식이다. 시진핑 주석 집권 이후로는 중국이 대만에 대한 무력 침공 가능성을 언급하고 대만해협에서 빈번한 무력 시위를 벌이는 등 양안 갈등이 심화하는 가운데 대만 민심이 점차 중국으로부터 멀어졌다. 특히 2019년 홍콩 사태 이후로 대만 사회 내에 반중정서가 확산되었으며, 2020년 제15대 총통선거와 올해 선거에서도 ‘반중 대 친중’의 구도가 재현된 가운데, 선거 캠페인의 주요 의제는 「92컨센서스」와 반중으로 나타났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