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북중우호조약 60년과 그 현재적 함의

상세내역
저자 이상숙
소속 및 직함 국립외교원 연구교수
발행기관 동아시아연구원
학술지 논평·이슈브리핑
권호사항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6
발행 시기 2021년
키워드 #북한   #북중관계   #븍증 우호조약   #미중 경쟁   #김정은   #시진핑   #이상숙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2021년 7월 11일 북중 양국의 ‘북중우호협력상호원조조약(이하 북중 우호조약)’이 60주년을 맞이하였다. 한국전쟁을 통해 실질적으로 안보동맹이 된 북한과 중국은 중소분쟁 시기인 1961년 7월 11일 북중 우호조약을 체결하여 안보동맹을 문서화하였다.
북중 우호조약은 한미일 등의 자본주의 국가들에 대한 공동 위협 인식을 기반으로 형성되었으나, 실질적인 북중 우호조약의 체결 배경은 중소분쟁이다. 당시 중국은 중소분쟁과 중인 국경분쟁을 경험하면서 국경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북한과 베트남에 우호조약을 제의하였다. 중소 양국으로부터 안보를 지원받고 있던 북한은 중소분쟁으로 중소 양국 모두로부터 안보를 지원받지 못하는 상황을 우려하여 중국과 안보협력을 포함한 조약을 체결하였다.
목차
1. 북중우호조약의 체결과 북중관계

2. 북중 우호조약 60주년을 통해 본 시진핑-김정은 시기 북중관계

3. 미중경쟁 시기 북중 우호조약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