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안보환경 변화를 고려한 한국 특수작전부대 발전 방안

상세내역
저자 김성수, 차두현, 양욱
소속 및 직함 (前)아산정책연구원 객원연구위원, 아산정책연구원 부원장, 연구위원
발행기관 아산정책연구원
학술지 아산리포트
권호사항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48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안보환경   #한국특수작전부대   #임무완전성 보장   #김성수   #차두현   #양욱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 보고서는 변화된 한반도 안보환경에 대응하여 전·평시 특수작전부대를 국가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방안과 임무완전성 보장을 위한 특수작전부대 발전 방안을 제공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한반도의 안보환경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미중 간 전략적 경쟁 심화 속에서 북한의 핵무기 고도화가 실질적이고 직접적인 위협으로 부상하고 있다. 북한은 각종 미사일 시험 발사, 전술핵 공격 잠수함 진수, 전술핵 가상발사훈련 등을 통해 핵무기 사용을 현실화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육·해·공군에 특수작전부대를 보유하고 있으나, 합동성 발휘가 제한되는 조직구조이며, 전선지역 중심의 재래식 전투에 고착된 전구작전개념으로 인해 전략적 중요도 대비 전시 활용도 및 임무기여도가 낮은 편이다. 미국 등 세계 주요국은 전쟁 및 주요 작전 등에 합동성을 바탕으로 한 특수작전부대를 국가 전략자산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군사적 수준을 넘어 정치적 수준의 운용을 통해 국가가 추구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더 큰 피해를 예방하고 있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안보환경 변화와 특수작전부대의 현재
1. 안보환경 변화
2. 특수작전부대의 현재

III. 주요국의 특수작전부대 전략적 활용
1. 미국
2. 우크라이나(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3. 이스라엘(엔테베 인질구출작전)
4. 교훈 및 함의

IV. 특수작전부대의 전·평시 운용개념 발전
1. 전시 전구작전개념 발전
2. 평시 및 위기 시 전략적 활용
3. 북한의 핵·미사일 사용 전후 활용

V. 임무완전성 보장을 위한 특수작전부대 발전 방안
1. 조직 및 병력구조
2. 교육훈련 및 임무 확장성
3. 인적자원 확보 및 인재양성

VI. 결론

참고문헌

육군-아산 정책 연구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