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북한 환경상태 조사 및 남북 환경협력사업 개발 연구(총괄보고서)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Status in North Korea and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Environmental Cooperation

상세내역
저자 강택구, 추장민, 명수정, 김충기, 전동준, 조공장, 한상운, 안현준, 장은미, 김승현
소속 및 직함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부연구위원, 선임연구위원, 연구위원, 연구원, 주 지인컨설팅 대표, 경남대학교 교수
발행기관 한국환경연구원
학술지 사업보고서
권호사항 2020(10(0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326
발행 시기 2020년
키워드 #북한   #환경상태   #남북   #환경협력사업   #개발연구   #강택구   #추장민   #명수정   #김충기   #전동준   #조공장   #한상운   #안현준   #장은미   #김승현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 연구의 필요성
o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모색하고 남북한 환경공동체를 실현하기 위해 남북한이 환경 분야 교류·협력을 추진해야 한다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음
- 2018년 9월 19일 남북한 정상 간 ‘9월 평양공동선언’을 통해 환경협력을 추진하기로 합의함
o 북한 환경 관련 데이터 및 정보가 부족하고 북한 환경 현황 및 실태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상황임
o 북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남북 협력사업을 발굴·추진하기 위한 수요 파악 및 환경정보 구축이 필요한 실정임

❏ 연구의 목적
o 본 총괄 과제의 장기적인 목적은 한반도 차원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통한 남북한 환경공동체를 실현하기 위해 북한 환경 상태를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조사하여 북한 환경 DB를 구축하고 북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선제적인 환경 분야 남북협력 전략 및 사업을 개발하는 것임
o 이를 달성하기 위한 이번 총괄과제의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음
- 첫째 북한 환경상태 조사·분석을 수행하고 북한 환경정보 DB 구축
- 둘째 남북한 환경협력 분야별 주요 사업개발 연구
- 셋째 북한 환경 관련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 넷째 북한 환경 연구 성과 공유 및 확산
목차
요 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3. 연구의 목표와 주요 내용
4. 보고서 구성
제2장 2020년 연구사업 추진 실적
1. 세부 과제별 주요 요약
2. 북한 환경 상태 정보화 전략계획 주요 요약
3. 학술활동 및 네트워크 주요 요약

제3장 향후 계획
1. 남북한 환경협력 공동 관심 분야
2. 향후 추진 계획

참고문헌

부 록
Ⅰ. 북한 상수도 문헌자료 심층 분석
Ⅱ. 북한 환경생태 관련 일본 문헌 조사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