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2020 신 지정학

상세내역
저자 아산정책연구원
소속 및 직함
발행기관 아산정책연구원
학술지 이슈브리프
권호사항 2019(30)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22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2020   #신 지정학   #아산정책연구원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2010 년대 이후 본격화되기 시작한 국제관계의 재편 구도는 다양한 양상으로 우리들 앞에
나타났다. 아산정책연구원의 정세전망 시리즈가 발간된 이후 ‘전략적 불신’(2015),
‘뉴노멀’(2016), ‘리셋?’(2017), ‘비자유주의 국제질서’(2018) 등의 키워드로 함축되었던
이러한 양상들은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는 것들이었다. 뉴노멀 시대는 각국의 전략적
불신을 증폭시켰으며, 단순한 국제질서의 일부 특징의 변화를 넘어 리셋의 경향을
가속화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비자유주의 국제질서의 등장 역시 두드러졌다. 즉, 2015 년
이후 제시되었던 개념들은 어느 하나가 완전한 배타적 설명력을 지니기보다는 해당 연도의
두드러진 경향이었으며, 이 퍼즐 조각들이 완전히 짜 맞추어진 전체 그림이 도출될
때까지는 여전히 더 많은 시간이 흘러야 할지도 모른다.
목차
2019 년 평가
동북아: 새 질서 주도권 경쟁과 하이브리드 지정학의 부상
멈춰버린 남북 관계와 비핵화의 시계
야누스의 얼굴을 한 미국의 2019 년
대외적 위기 속 국내 리더십 공고화를 추구한 중국
‘아름다운 조화’를 추구했으나 주변국 마찰만 남긴 일본
혼돈에 혼돈이 겹친 유럽의 2019 년
미국이 퇴각한 자리, 제국의 부활을 노렸던 러시아
국내적 안정 속 점증한 외적 위기를 경험한 아세안의 2019 년
중동에서 미국이 떠난 자리를 차고 들어간 터키-러시아 협력
지속적으로 확대된 신안보 위협
격렬했던 무역전쟁을 경험한 2019 년
2020 년 전망
하이브리드 지정학이 심화되는 동북아의 2020 년
2020 년, 북한 도발 재개 가능성과 함께 멀어지는 비핵화
전방위적 갈등 요소를 품은 미국의 2020 년 대외정책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려는 노력을 펼칠 2020 년의 중국
국내적 · 국제적 유산을 남기려 노력할 일본 아베 정권의 2020 년
혼란을 넘어 대혼란이 예상되는 유럽의 2020 년
국내적 안정과 달리 대외적 미래가 불투명한 러시아의 2020 년
베트남 변수와 미중 지정학 경쟁에 처한 2020 년의 동남아


미국발 중동 지정학의 재편과 국내 불안정 지속이 예상되는 2020 년
상호 이익에 기반한 신안보 글로벌 거버넌스
2020 년 소강상태로 접어들 미중 무역전쟁과 회복되는 국제통상질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