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KEI 북한환경리뷰 2023-01호

KEI Environmental Review of North Korea

상세내역
저자 고상두, 강민조, 강택구, 임채은
소속 및 직함 연세대학교 지역학협동과정 교수, 한반도·동아시아연구센터 연구위원, 한국환경연구원 녹색전환연구실 연구위원, 연구원
발행기관 한국환경연구원
학술지 KEI 북한환경리뷰
권호사항 2023(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54
발행 시기 2023년
키워드 #유럽연합   #환경정책   #남북한   #환경협력   #인도적 협력   #접경협력   #북·중 접경지역   #북한환경리뷰   #고상두   #강민조   #강택구   #임채은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환경보호는 국제협력 의제 중에서 성사하기 어려운 부문에 속한다. 왜냐하면 다수 국가가 환경오염을 초래하지만, 그로 인한 피해는 일부 국가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한 국제환경 협력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기후변화의 피해 범위가 전세계적으로 확산하면서, 해수면 상승, 홍수와 가뭄의 빈번한 발생으로 타격을 받는 국가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기온 상승을 유발하는 소위 온실가스는 주로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이산화질소(N2O) 등이지만, 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스는 이산화탄소이다. 그러므로 관련 통계에서는 이산화탄소를 기본단위로 설정하고 모든 온실가스를 그에 치환하여 계산한다. 그러므로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정책을 총망라하여 탄소정책이라고 부른다. 탄소배출 감축에 합의한 최초의 국제적 합의는 1997년에 체결한 교토의정서이다. 교토체제에서는 선진국이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한다. 개도국은 탄소배출의 주원인이 산업화이므로 이미 산업화를 이룩한 국가들이 감축에 나서야 하며, 후발 산업화에 나선 개도국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경제성장을 포기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그 결과 37개 선진국이 탄소 감축의 의무를 지고, 개도국은 선진국으로부터 감축을 위한 재정적·기술적 지원을 받기로 하였다.
목차
현안진단
• 유럽연합의 환경정책과 남북한 환경협력에 대한 시사점 (고상두) 01

연구동향
• 남북 인도적 협력을 위한 접경협력의 추진방안 (강민조) 16
• 북·중 접경지역의 주요 환경 관련 중국 학술자료 현황 (강택구, 임채은)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