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KEI 북한환경리뷰 2022-02호

KEI Environmental Review of North Korea

상세내역
저자 임은정, 김혁, 함광복, 전동준, 강택구, 양정인
소속 및 직함 국립공주대학교 국제학부 부교수,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선임연구원, 한국DMZ연구소장, 한국환경연구원 공공인프라평가실 선임연구위원, 한국환경연구원 녹색전환연구실 연구위원, 한국환경연구원 충남대학교 학생인턴
발행기관 한국환경연구원
학술지 KEI 북한환경리뷰
권호사항 2022(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71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기후변화   #남북한   #에너지 협력   #농업환경   #DMZ 그린데탕트   #접경지역   #토지피복   #북한   #환경연구   #북한환경리뷰   #임은정   #김혁   #함광복   #전동준   #강택구   #양정인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고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남·북한 간 에너지 분야 협력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 장차 협력을 위한 중·단기적으로 한국 정부가 추진해 볼 수 있을 정책방향의 제언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고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2장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남·북한 간 에너지 협력 가능성을 왜 타진해 보아야 하는지, 그 배경을 기술한다. 3장에서는 남·북한의 에너지 관련 통계를, 4장에서는 남·북한의 기후변화 대응을 개략적으로 비교한다. 5장에서는 그간 있었던 남·북한 간 에너지 협력 사례와 논의된 바 있었던 협력 시나리오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미래 협력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마지막 6장에서는 본고에서의 분석을 토대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남·북한 간 에너지 협력을 위해 필요한 조건들을 짚어 보고, 한국 정부를 위한 정책방향의 제안으로 결론을 갈음하고자 한다.
목차
현안진단 01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남·북한 에너지 협력의 가능성 (임은정)
• 기후변화에 따른 북한의 농업환경과 남북협력 방안 (김혁)
• 영화 고지전의 생태학적 상상 "DMZ 그린데탕트" (함광복)

연구동향 50
• 경기·인천권 DMZ 및 접경지역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생물서식지 및 탄소저장량 예측 (전동준)
• 북한 환경 관련 논문을 통해 본 북한의 환경연구 현황 (강택구, 양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