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북한의 기후변화 취약성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남북협력(I)

North Korea's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nd Inter-Korean Cooperation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Ⅰ)

상세내역
저자 명수정, 최은영, 최현일, Youngil Kim
소속 및 직함 한국환경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건국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Canadian Armed Forces Weather Specialist
발행기관 한국환경연구원
학술지 사업보고서
권호사항 2021(09(0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99
발행 시기 2021년
키워드 #북한지역   #기후변화   #취약성   #남북협력   #북한 환경상태 조사   #남북 환경협력사업   #명수정   #최은영   #최현일   #Youngil Kim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o 연구의 배경
ㅇ 북한의 기후변화는 전 세계 평균보다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기후변화와 관련한 영향과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 기후변화 대응이 시급
ㅇ 기후변화에 대응한 협력 추진을 위하여 북한의 기후변화 취약성을 이해하고 남북협력 의 기반 마련 필요

o 연구의 목적
ㅇ 향후 남북 간 및 국제사회와의 기후변화 대응 협력추진을 위해 북한의 기후변화 취약성을 검토하고 관련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자 함
- 기후변화 취약성 파악을 위한 평가틀을 구축하고 관련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시범적으로 적용
목차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기대 효과

제2장 기후변화 및 기후변화 취약성 동향
1. 국내외 기후변화 동향
2. 기후변화 취약성과 리스크
3. 기후변화 취약성평가 사례와 절차

제3장 북한지역 기후변화 취약성 검토의 기초자료 구축과 시범적용
1. 기후변화 취약성 검토를 위한 기초 현황 조사 및 자료 수집
2. 북한지역 기후변화 취약성 시범 검토

제4장 1차연도 결론

참고문헌

부 록
Ⅰ.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세부 입력자료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