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북한 환경상태: 하수도와 폐기물

Environmental Status in North Korea: Sewerage and Waste

상세내역
저자 박규홍, 이승희, 권순원, 장전리, 최 용, 최형진
소속 및 직함 중앙대학교 교수, 경기대학교 교수, 중앙대학교 연구조교, 경기대학교 연구조교
발행기관 한국환경연구원
학술지 사업보고서
권호사항 2021(09(06))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270
발행 시기 2021년
키워드 #북한   #환경상태   #하수도   #폐기물   #남북 환경협력사업   #박규홍   #이승희   #권순원   #장전리   #최 용   #최형진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1. 연구의 배경
o 북한의 경우 1960~1970년대에 상하수도시설이 구비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최근 하수관로로 배출하여 처리하는 하수도보급률은 한국에 비해서 상당히 낙후된 상황으로 추정됨
o 북한 하수도에 관한 정보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으며 그나마 회자되는 자료의 신뢰성에 대해서도 검증이 필요한 상황
o 그러므로 북한 하수도 관련 기존 문헌 등의 토대가 되는 원자료를 검토하고 자료들의 신뢰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

2. 연구의 목적
o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수행된 북한 하수도 관련 조사 및 연구 문헌들을 검토, 확인, 분석하는 것이며, 추후 북한 하수도 종합계획을 구상, 수립하기 위한 토대로 활용될 수 있도록 신뢰성 있는 자료를 정리하려는 것임
목차
[제1부] 북한 하수도 문헌자료 심층분석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범위
3. 연구 내용 및 수행 체계

제2장 북한 하수도 관련 정책 및 법·제도
1. 법령
2. 북한의 환경관리와 하수도관리의 행정조직

제3장 북한 하수도 일반 현황
1. 북한 하수도시설의 분류
2. 북한 하수도 관련 자료
3. 시사점

제4장 북한 하수도의 관리
1. 국내외적인 하수도 이슈
2. 북한 오수정화장 유지운영 기술 및 분산식 소규모 하수도의 관리 방향
3. 시사점

제5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제2부] 북한 폐기물 문헌자료 심층분석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및 내용
3. 연구수행 방법 및 추진체계

제2장 북한 페기페설물(폐기물) 관련 법·제도
1. 북한의 페기페설물(폐기물) 관련 법 현황
2. 북한의 페기페설물(폐기물) 관련 제도

제3장 북한 페기페설물(폐기물) 문헌정보, 분류체계와 관리현황
1. 북한의 페기페설물(폐기물) 관련 문헌정보와 특징
2. 북한의 페기페설물(폐기물) 분류체계
3. 북한의 페기페설물(폐기물) 발생 및 조성
4. 북한의 페기페설물(폐기물) 처리현황

제4장 북한 페기페설물(폐기물)의 관리분석
1. 북한의 재자원화 진행에 대한 분석
2. 북한의 오물 관리에 대한 분석
3. 북한의 페기페설물 관리에 대한 분석
4. 광산에서의 페기페설물 관리에 대한 분석
5. 북한의 페기페설물 수출입 관리에 대한 분석

제5장 북한의 페기페설물(폐기물) 관리에 대한 시사점 및 관리방안

제6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정보유무에 따른 해석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