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한강하구 상태평가 및 환경정보 공유 플랫폼 개발 연구

An Assessment of Han River Estuary Condition and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 Information Sharing Platform

상세내역
저자 김충기, 김준성, 신원태
소속 및 직함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 (주)글로벌해양 대표이사
발행기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학술지 사업보고서
권호사항 2020(10(0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113
발행 시기 2020년
키워드 #한강하구   #상태평가   #환경정보   #공유플랫폼   #북한 환경상태 조사   #남북 환경협력사업   #김충기   #김준성   #신원태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o 한강하구 지역의 보전 가치와 개발 압력
ㅇ한강하구 지역은 휴전 이후 지난 67년간 인간 활동이 단절되어 자연, 생태, 역사, 문화가 잘 보전된 자연하구이며, 자연 본연의 보전 가치가 큰 곳으로 평가되고 있음
ㅇ그러나 한국의 경제발전과 아울러 서울 근교에 대체 개발지를 찾고 있는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 등이 한강 하구역을 독자적으로 개발하는 계획을 수립하여 상호 간의 협의 없이 개발을 추진하는 등 인간 활동에 따른 자연생태계의 위협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실정임

o 한강하구 지역의 인식 증진을 위한 나눔과 공유의 장 필요성 대두
ㅇ무분별한 개발과 예산 중복 투자를 막고 자연생태계에 대한 위협을 저감하는 인식을 증진할 필요가 있음
ㅇ남북 공동 이용, 지역발전 등의 중o장기적 계획에 기반하여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ㅇ한강하구의 고유한 생태환경과 역사문화적 가치를 홍보하고 국가, 지방자치단체, 기업 등이 추진 중인 개발사업의 정보를 공유하여, 모든 이해관계자가 참여하여 한강하구의 이슈를 해결할 방안을 도출할 필요가 있음
목차
요 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3. 연구의 내용 및 수행 체계

제2장 한강하구의 현황 및 상태평가 체계 사례 분석
1. 한강하구의 현황
2. 상태평가 체계 사례 분석

제3장 한강하구 상태평가
1. 한강하구 상태평가 체계 및 평가 지표
2. 부문별 상태평가
3. 한강하구 상태평가 결과

제4장 환경정보 공유 플랫폼 개발 방안
1. 해외 공유 플랫폼 사례 조사 및 시사점
2. 플랫폼 개발 방안 개요
3. 플랫폼 개발 방안 수립

제5장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