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KDI 북한경제리뷰 2015년 12월

KDI Review of the North Korean Economy

상세내역
저자 신범식, 서동주, 최수영, Igor Makarov
소속 및 직함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 한국경제연구원 초빙연구위원, National Research University Higher School of Economics
발행기관 한국개발연구원
학술지 북한경제리뷰
권호사항 17(1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95
발행 시기 2015년
키워드 #러시아   #신동방정책   #동북아   #지역정치   #푸틴정부   #대외정책   #북한경제리뷰   #신범식   #서동주   #최수영   #Igor Makarov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동북아 지역은 다가오는 수년 동안 가장 역동적이며 많은 변화가 예고되어 있는 용광로와 같은 지역이다. 동북아시아 안보질서 재편의 핵심은 2008년 9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시화되기 시작한 “중국의 급속한 부상과 미국의 영향력 저하” 현상이 과연 그동안 미국이 주도해 온 지역질서를 변화시켜 새로운 동북아 질서의 창출로 귀결될 것인가와 관련되어 있다. 2020년대 어느 시점엔가 중국 국민총생산(GDP)이 미국을 추월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미⋅중 간 경쟁과 협력 그리고 그에 따른 동북아 국가들 사이의 상호작용은 동북아 지역의 세력망 구도를 바꾸고 역내 세력균형점을 바꾸어 가고 있다. 따라서 다가오는 향후 동북아 지역정치에서는 미⋅중관계가 지역질서의 핵심적 축을 이루는 가운데, 초국가적 및 지역적 문제들을 풀어가기 위한 다자적 협력네트워크를 발전시켜 나가려는 역내 행위자들의 대응이 복잡하게 엮어지면서 복합적 양상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목차
동향과 분석
러시아의 신(新)동방정책과 동북아 지역정치│신범식
러시아 푸틴정부의 대외정책과 한·러관계 재도약│서동주
'일대일로' 전략과 한·중 협력방안│최수영

경제자료
극동 시베리아의 위기와 기회(-HSE)의 정의│Valdai Discussion Club Report

부문별 주요 기사(11월 1일~11월 30일)
대내경제, 대외경제, 남북교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