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5월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이란 핵협정(Joint Comprehensive Plan of Action) 탈퇴를 선언했고 8월 이란 제재를 복원했다. 2015년 주요 6개국(유엔안보리 상임이사국과 독일)과 이란이 어렵게 이룬 다자 합의를 일방적으로 파기한 것이다. 8월 제재는 1단계로서 이란의 달러 매입, 귀금속∙광물 매매, 자동차∙비행기 부품 거래를 금지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재가 재개된 날 트위터에서 "이란과 사업하는 어느 누구도 미국과 사업하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1단계 제재부터 ‘세컨더리 보이콧'을 적용해 이란과 거래하는 제3국 기업과 개인도 대상으로 삼고 있다.
11월에 시작되는 2단계 제재는 에너지와 금융 부문으로 확대되면서 이란산 원유∙석유제품, 리알화∙외환, 해운∙조선 관련 거래를 모두 금지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전 세계를 대상으로 이란산 원유 수입 중단을 요구하고 있다. 이란에 진출한 유럽 회사들은 철수하기 시작했고 국제 유가가 들썩이고 있다. 이미 최악의 위기로 치달은 이란 경제는 큰 타격을 받을 것이다.
이란의 실세인 울라마-혁명수비대 강경 보수연합은 미국에게 거세게 항의하며 무력시위를 벌이고 있다. 최근까지 성직자 체제 수호세력의 군사조직 혁명수비대는 시리아 내전을 발판으로 역내 헤게모니를 확장해왔다. 그러나 시리아, 레바논, 이라크, 예멘에서 영향력을 빠르게 넓혀가던 강경 보수연합은 일련의 팽창정책을 지속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보수연합의 국내 핵심 지지세력이 등을 돌리며 분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란의 지방 보수층은 민생 파탄을 인재로 보며 대대적인 반체제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란의 강경 보수연합은 국내 여론의 악화로 역내 헤게모니 강화가 아닌 체재 단속에 집중할 것이다. 미국에 대한 전쟁 불사 위협도 수사에 그칠 것이다. 대신 미국의 이란 제재 복원으로 형성된 이란-중국-터키-카타르의 반미연합을 뒤에서 지원하는 방식으로 역내 영향력을 이어가려 할 것이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