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ⅸ
Ⅰ. 서론··1
<제1부> 정치경제
Ⅱ. 정치·군사 체제: 당군 관계 중심··9
1. 전환기 쿠바의 정치체제··12
2. 민군 관계와 당-국가체제의 당군 관계 이론··26
3. 쿠바와 북한의 당군 관계··30
4. 전환기 쿠바와 북한 군부의 정치경제적 역할··34
5. 비교분석의 시사··40
Ⅲ. 하이브리드(Hybrid) 경제: 두 독재정권의 지속 요인과 차이··45
1. 저발전 탈사회주의 독재의 복잡한 시장시스템 진화··50
2. 쿠바 경제의 역사 및 현황··60
3. 쿠바 시장시스템 진화 과정··64
4. 북한 시장시스템 진화 과정··73
5. 동질성과 차이··80
Ⅳ. 쿠바의 대북·대미 교역 및 미국 변수··87
1. 쿠바-북한 간 교역관계와 특징··89
2. 쿠바-미국 간 교역관계와 특징··95
3. 대외 교역과 미국 변수··102
4. 향후 교역 전망··111
<제2부> 외교
Ⅴ. 미국·쿠바 관계의 역사적 발전: 북미관계에 함의··119
1. 쿠바의 대외정책··122
2. 북한의 외교정책··127
3. 미국과의 대외관계··130
4. 비교분석의 시사··145
Ⅵ. 쿠바, 이란, 북한의 대미관계: 정치체제와 대외경제 중심··149
1. 미국외교와 불량국가··152
2. 기존논의: 국제환경과 국내정치··153
3. 정치체제와 외교정책··156
4. 대외경제와 외교정책··162
5. 비교분석의 시사··166
Ⅶ. 러시아·쿠바 관계: 동맹파탄과 경제협력 가능성··171
1. 쿠바 혁명과 소련: 동맹의 성립과 파탄··174
2. 러시아와 쿠바 관계: 단계적 추이··180
3. 러시아·쿠바 관계의 대내외 결정 요인··188
4. 비교분석의 시사··195
Ⅷ. 결론: 정책적 함의··199
1. 정치경제··201
2. 외교··210
참고문헌 ··217
최근 발간자료 안내 ··229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