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이 1월 18일부터 21일까지 미국의 워싱턴, 시카고 등을 방문하고 오바마 美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번 정상회담은 중국이 미국에 버금가는 영향력을 지니게 된 이후 사실상 최초의 ‘G2 회담’이란 점에서 국제사회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한국 대부분의 언론매체와 국민들 역시 태평양 건너 미국 땅에서 벌어진 21세기 두 제국(帝國)의 만남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양국관계의 발전과 변화는 한반도의 미래와 남북한 통일에 갈수록 중요한 변수로 등장하기 때문이다.
후진타오 주석은 이번 방미를 통해 중국의 급부상에 대한 미국 조야의 경계심을 해소하고, 21세기의 또 다른 10년을 열어갈 양국 간 ‘새로운 협력관계’를 창출하고자 했다. 동시에 후 주석은 “세계의 어떠한 문제도 미·중간 협의 없이는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을 국제사회에 각인시킴으로써 명실상부한 ‘G2국가’로서의 위상을 과시하고자 했다. 이러한 중국의 의도는 최대한의 예우를 갖춘 ‘미국의 환대’와 14년 만에 이루어진 ‘국빈방문(state visit)’ 그리고 “강력하며 번영되고 성공적인 중국이 국제사회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환영 한다고 밝힌 오바마 대통령의 발언을 통해 어느 정도 실현된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