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KDI 북한경제리뷰 2025년 8월

KDI Review of the North Korean Economy

상세내역
저자 류지성, 김미연, 이수연, 이찬호
소속 및 직함 한국법제연구원 연구위원, 한국산업은행 미래전략연구소 연구위원,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연구교수, 법무법인(유한)태평양 고문,외국변호사
발행기관 한국개발연구원
학술지 북한경제리뷰
권호사항 27(8)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55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KDI   #북한경제리뷰   #2025년   #8월   #류지성   #김미연   #이수연   #이찬호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은 법령을 대대적으로 정비해 전체 법률의 약 67%를 손봤다. 겉으로는 법치와 정상국가화를 강조하지만, 실제로는 처벌·통제를 강화하는 ‘법에 의한 지배’가 뚜렷하다. 선박 담보, 권익, 재산집행 등 근대 용어·제도를 도입했으나 규범통제와 기본권 보호는 여전히 미흡하다. 2021년 ‘사회보험 및 사회보장법’은 제도 통합과 재원 갹출로 체제 결속을 지향하지만 형평성·정합성 한계를 드러낸다. 상업·유통 법제 개편과 정보화도 주민 편의보다 재정 확보·거래 추적 등 관리를 겨냥한다. 시장화 진전의 신호로 과대해석하기 어렵다. ‘두 국가론’ 등 대외 행보 속에서 우리도 남북경제협력 법·제도를 재점검하고 합의 이행력과 리스크 관리 장치를 보완해 교류 재개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 투자보장, 상사분쟁 해결, 제재·리스크 대응 가이드라인 등 선제적 법 기반을 갖출 필요가 있다.

Since Kim Jong-un assumed power, North Korea has rewritten about 67 percent of its body of law. The regime touts rule of law credentials and a “normal state” posture. In practice it governs by law that is punitive, supervisory, and centrally directed. It has added modern legal fixtures such as ship mortgages, rights and interests, and property enforcement, yet safeguards for due process and basic rights remain thin. The 2021 Social Insurance and Social Security Law consolidates programs and introduces contributory financing to cement cohesion, yet it exposes deficits in equity and internal coherence. Changes to commercial and distribution statutes, along with the digitization of distribution, serve fiscal extraction and transaction surveillance rather than resident convenience, and they do not signal marketization. Amid external signaling such as the ‘two-state theory,’ South Korea should overhaul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for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nd strengthen agreement enforceability and risk governance. A preemptive legal foundation needs to be established, including robust investment protection, effective commercial dispute resolution, and clear guidelines for sanctions and risk response.
목차
동향과 분석

북한의 법령변화동향|류지성

북한의 상업⋅유통 관련 법제 정비의 함의- ‘옥심상점’, ‘우리 가정수첩’의 재현- |김미연

북한의 ‘사회보험 및 사회보장법’채택과 함의 |이수연

남북한 경제협력정상화를위한법제도적정비과제|이찬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