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통일연구 브리프 2025년 5월/6월/7월호 Vol. 10

상세내역
저자 통일연구 브리프 편집위원회
소속 및 직함 통일연구 브리프 편집위원회
발행기관 통일연구원
학술지 통일연구브리프
권호사항 (10)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83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항일독립운동   #통일   #이재명 정부   # 통일·대북정책   #남북한   #남북 사회문화   #남북경제협력   #한미동맹   #통일연구 브리프 편집위원회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우리가 통일을 추구하는 것은 원래 하나였던 주권과 영토를 다시 하나로 만드는 작업이다. 우리는 일제로부터 해방됐으나 나라가 분단됨으로써 완전한 광복을 이루지 못했다. 일제 식민 치하에서부터 우리 조상들은 개인의 자유와 완전한 주권 국가를 추구했다. 통일은 일제 식민지 시대부터 우리 민족이 추구했던 하나의 자유로운 민주공화국을 완성하는 일이다. 완전한 광복인 것이다.
일제 식민시기 당시에는 독립운동만 있었던 것이 아니다. 친일 반민족행위자들도 많았다. 3.1운동이 좌절되고 일제의 문화통치가 10여 년 진행되자 조선의 많은 지식인들이 이에 호응했다. 더구나 일제가 만주국을 세우고 중국을 점령하며 태평양을 지배하는 등 욱일승천하자 조선독립은 불가능한 것처럼 보였다. 그 당시 만주국은 세계적인 엘도라도였다. 세계 최고의 성장과 현대화는 조선사람들의 혼을 빼앗을 정도였고, 많은 조선사람들이 만주로 갔다. 이렇듯 조선은 일제에 적응하며 안주하고 있었다.
목차
권두칼럼
항일독립운동과 통일의 역사적 의미- 김천식 통일연구원장

특별대담
이재명 정부 통일·대북정책 추진 방향
- 발표 | 최규빈 통일연구원 인권연구실장, 장철운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김민성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
- 토론 | 이창희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외래교수, 강우철 한국수출입은행 책임연구원, 조비연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현안분석
남북한 간 정치·군사적 신뢰회복 조치: 화해·협력으로의 전환 - 장철운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정유석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
남북 사회문화 교류협력: 회복과 재도약 - 정은미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이재명 정부 사회적 대화의 방향: 합의를 넘어 메타합의로 - 박주화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남북경제협력: 재개 및 지속가능성 확보 - 홍제환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남북 간 인도주의 사안과 협력 모색 - 조현정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 이규창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한미동맹 및 한미일 3자 협력: 현황과 과제 - 김주리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김민성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
이재명 정부의 북핵 외교 - 백승준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 정성윤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남북의 포괄적 인권 및 개발 협력 - 최규빈 통일연구원 인권연구실장, 이무철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이재명 정부의 대중, 대러 외교: 도전 요인 및 고려사항 - 황태연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