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21세기 한국이 안보와 통일과 번영과 세계평화를 위해 추진할 국제안보 체계를 모색하였다. 동 보고서의 배경에는 국내의 국제안보 개념과 연구가 아직 미발달되었다는 문제의식이 있다. 따라서 이 보고서는 국제안보의 개별적인 정책사안과 세세한 집행전략에 집중하기보다는 국제안보 관점과 정책의 중요성을 부각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 보고서는 국제안보가 우리의 안보 논의에서 주변적인 위치가 아니라, 중심적이고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국가안보에 대해 북한과 관련한 국방 또는 방첩과 동일시하는 제한적인 정의를 거부하고, 군사, 외교, 통일의 3개 영역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볼 것을 제기한다. 이때 국가안보는 사실상 국제안보와 유사한 범위를 갖게 된다. 이런 국가안보, 또는 국제안보적 접근의 장점은 통일, 외교, 국방의 통합적인 접근을 가능케 한다. 한국의 미래 생존과 번영은 국제안보와 외교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의 국가적 특성이 이를 말해준다. 한국은 분단국가, 안보취약국가, 통상국가, 중견국가, 그리고 세계국가이다. 따라서 우리는 통일외교, 안보외교, 통상외교, 중견국외교, 글로벌외교를 통해 통일을 추구하고 안보와 통상국익을 극대화해야 한다. 특히 한국은 분단국이며 안보취약국이지만, 다른 주요국에 비해 독자적인 국가안보 및 국제안보 전략과 역량이 아직 부족하다. 그동안 분단의 현실과 북한의 군사적 위협 속에서 한미동맹 이외 별다른 안보전략을 구상할 여력을 갖지 못했던 탓이다. 근래 대내외 환경의 대변동 속에서 한국이 통일과 번영과 안보와 평화의 국가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보다 다변화되고 포괄적인 국제안보 전략이 필요하므로, 이 보고서는 우리 국가안보 전략의 수립에 도움이 되는 주요 국제안보 개념을 소개하고 비교 토론하였다. 전통적인 국제안보 개념으로 세력균형, 억지, 동맹, 집단방위, 중립, 비동맹, 집단안보 등을 비교 토론하고, 새로운 국제안보 개념으로 공동안보, 협력안보, 포괄안보 등을 비교 토론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보고서는 대표적인 국제안보 정책과제 5개를 제시하고 추진전략도 제시하였다. 한반도 차원에서 비핵화와 통일외교, 동북아 차원에서 공동안보를 위한 안보협력과 포괄안보를 위한 원자력협력, 세계 차원에서 핵안보를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 구축방안을 검토하였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