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이재명 정부의 한반도 평화를 위한 대북정책 5개 과제 제안- 북한 핵무장, 미중 경쟁, 북러 동맹의 동북아 신지정학 시대를 배경으로

상세내역
저자 전봉근
소속 및 직함 세종연구소 객원연구위원
발행기관 세종연구소
학술지 세종정책브리프
권호사항 2025(2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21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이재명   #정부   #한반도   #평화   #대북정책   #5개   #과제   #제안   #북한   #핵무장   #미중   #경쟁   #북러   #동맹   #동북아   #신지정학   #시대   #배경   #한반도신냉전   #전봉근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한반도 신냉전'의 대북정책 환경 변화

❍ 2010년대 후반부터 아래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동북아와 한반도 정세는 질적으로 변화하기 시작했으며, 이로써 ‘한반도 신냉전’이 발생했고, 탈냉전기 내내 국가 붕괴 위기에 시달렸던 북한은 국가 생존의 탈출구를 찾은 것으로 보임.

- 첫째, 북한이 2017년 9월 자칭 “수소폭탄” 핵실험에 성공하고, 11월 ICBM 화성-15호를 시험 발사한 이후 “국가 핵무력 완성”을 선언했음. 북한은 핵무기를 약 50~100기 보유한 ‘핵무장국’으로 등장했고, 이로써 탈냉전기 내내 두려워했던 한국 주도의 흡수통일과 미국의 ‘적대시 정책’ 위험에서 벗어났음.
- 둘째, 2010년대 후반부터 ‘중국의 부상’에 따른 ‘미·중 경쟁’이 본격화했는데, 미·중 전략경쟁 시대를 맞아 동아시아 공간에서 지정학적 경쟁이 치열해지자 중국은 ‘전략적 완충지대’로서 북한의 가치를 재인식하게 되었음.
- 셋째, 2022년 2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미·러 경쟁’이 시작되었고, 이를 배경으로 북·러 동맹(2024)이 체결되었으며, 북한은 새로운 안보적·경제적 탈출구를 찾았음.
- 넷째, 북한은 2024년 초 돌연 민족통일 노선의 폐기를 선언하고 남북 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 관계”로 규정했으며, 한국을 정복의 대상으로 간주하고 핵 공격을 위협함에 따라 군사적 충돌 및 핵사용 위험성이 증대했음.
- 다섯째, 마지막으로 2025년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일방주의적 대북 접근(“한국 패싱”), “스몰딜” 핵합의 추진, “핵군축” 협상 등의 가능성이 증가했음.
목차
핵심요약

1. 문제 제기

2. 탈-탈냉전기의 대북정책 환경 평가

3.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5개 대북정책 과제

4. 대북정책의 지속성과 효과성 강화를 위한 고려 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