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2014 이슈브리프 하반기 단행본 (2014-17 ~ 2014-32)

상세내역
저자 김지윤, 이의철, 강충구, 칼 프리드호프, 이재현, 장지향, Peter Lee, J.James Kim, 박지영, 최현정, 한민정, 김한권, 최현정, 최강, 김기범, 성지영, 고명현, 장지향, Peter Lee, 김종우, 김수민, Jeremy Ghez, Kim Chong Woo, Academic Director, Center for Geopolitics, HEC Paris, Research Fellow, The Asan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최현정, Shin Chang-Hoon, Nicholas Eberstadt , Alex Coblin
소속 및 직함 연구위원, 연구원, 연구원, 연구원, 연구위원, 연구위원, 연구원, 연구위원, 연구위원, 부원장, 연구원, Program Officer, Research Fellow The Asan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Research Fellow, Program Officer The Asan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연구위원, 연구조교, 연구위원, Research Fellow The Asan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The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The Asan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The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발행기관 아산정책연구원
학술지 이슈브리프
권호사항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353
발행 시기 2015년
키워드 #2014   #이슈브리프   #하반기   #단행본   #김지윤   # 이의철   #강충구   #칼 프리드호프   #이재현   #장지향   #Peter Lee   # J.James Kim   #박지영   #최현정   #한민정   #김한권   #최현정   #최강   #김기범   #성지영   #고명현   #장지향   # Peter Lee   #김종우   #김수민   # Jeremy Ghez   #Kim Chong Woo   #Academic Director   #Center for Geopolitics   #HEC Paris   #Research Fellow   #The Asan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최현정   # Shin Chang-Hoon   # Nicholas Eberstadt   #Alex Coblin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박근혜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위해 지난 7월 3일 국빈 방한(訪韓)했다. 동북아 정세가 긴박해지는 가운데 열린 터라 회담은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특히, 중국의 매력 공세(charm offensive)에 우리 정부가 어떤 입장을 취할 것인지와 두 나라가 북핵 문제 공조 수위를 어떻게 가져갈지에 세간의 이목이 쏠렸다.

아산정책연구원 여론연구프로그램에서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방한을 앞두고 여론조사 결과를 분석한 ‘동북아 질서와 한중관계의 미래’ <아산리포트>를 발표했다. 보고서에는 한중 정상회담이 성공하기 위한 3가지 조건이 제시됐다. 첫째, 한중 문화협력을 늘려 양국관계 발전의 기초를 다질 것, 둘째, 두 정상이 한중 FTA 연내 타결에 대한 의지를 보여 한중 경제협력 속도를 높일 것, 셋째, 중국 정상의 ‘북핵 불용’ 발언을 이끌어내 한국 국민이 중국을 믿을 수 있게 할 것이었다.
 
목차
시진핑 방한의 성과와 과제:
일장중몽(一場中夢)과 흔들리지 않는 여론

남중국해 갈등과 일본의 집단자위권을 통해 본 아태 지역의 전략 상황:
불확실성에서 불안정성으로

동북아 에너지 협력은 비교적 쉬운 양자협력부터

한중 정상회담의 평가와 향후 과제

2014년 기상이변과 북한사회의 위기 가능성

미사일방어에 대한 전략적 모호성의 장벽을 넘어서

Resettling in South Korea:
Challenges for Young North Korean Refugees

Middle East Q&A: ISIS, Kurdistan, and Korea

인재사고를 통해 본 한국의 현 주소

The Days after the Fall of North Korea:
View(s) from the Business Community

탄소배출권거래제도와 녹색외교: 한국 기후변화 정책의 패러독스

Human Rights Abuses in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재연기 이후의 과제

2014년 미국 중간선거가 한국에 주는 의미

Dependencia, North Korea 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