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KDI 북한경제리뷰 2011년 12월

상세내역
저자 이석, 이석기, 김영훈, 양문수, 김상기, 이재호, 정은미, 김성남, 권태구, 이원경, 나미나, 박조아
소속 및 직함 KDI 연구위원,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KDI 전문위원, KDI 전문위원,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HK연구교수, 연변대학교 동북아연구원 연구원, 전문연구원, 연구원, 연구원, 인턴
발행기관 KDI 한국개발연구원
학술지 북한경제리뷰
권호사항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179
발행 시기 2011년
키워드 #KDI   #북한경제리뷰   #2011년   #12월   #북한산업동향   #북중무역동향   #남북교역   #븍한대외개방   #이석   #이석기   #김영훈   #양문수   #김상기   #이재호   #정은미   #김성남   #권태구   #이원경   #나미나   #박조아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글은 2011년 12월 17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이 북한 및 한국경제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향후 1년의 기간을 두고 볼 때, 북한경제에 매우 단기적으로는 부정적 영향이 나타날 것이나, 중장기적으로는 오히려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날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현 시점에서 북한 새 지도부의 안정성과 강성대국 건설 및 개혁개방에 대한 태도 여하에 따라서는 부정적인 영향도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한편, 한국 경제는 단기적인 충격에도 불구하고 곧바로 회복되거나 관망세로 접어들 가능성이 크지만, 만일 내년 들어 북한의 상황이 예상을 뛰어넘을 정도로 악화된다면 이른바 기존 ‘북한 리스크의 구조’ 자체가 변화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다.
목차
동향과 분석
2011년 북한경제 평가 및 2012년 전망
≫ 개관: 김정일 사후 북한 및 한국경제에 대한 소고(이석)
≫ 실물부분 및 산업 동향(이석기)
≫ 2012년 북한의 식량상황 전망과 농업관리 방향(김영훈)
≫ 시장동향 및 평가(양문수)
≫ 북중무역동향(김상기)
≫ 남북교역 및 교류협력 동향(이재호)

연구 논문
≫ 북한 한류 연구의 배경, 정보순환, 해석에 대한 비판적 고찰(정은미)
≫ 중국 장길도 개발개방전략과 향후 북한 대외개방의 과제(김성남)

경제 자료
≫ 2011년 하반기 FAO/WFP 북한 식량안보 실태조사(권태구)
≫ 북한 통계 자료(이원경, 나미나, 박조아)

부문별 주요 기사 (11.20~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