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KDI 북한경제리뷰 2011년 5월

상세내역
저자 양문수, 홍익표, 김진하, 권태진
소속 및 직함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원장
발행기관 KDI 한국개발연구원
학술지 북한경제리뷰
권호사항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109
발행 시기 2011년
키워드 #KDI   #북한경제리뷰   #2011년   #5월   #남북경협   #개성공단   #6자회담   #북한식량   #양문수   #홍익표   #김진하   #권태진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개성공단을 제외한 남북교류협력을 사실상 전면 중단시킨 5 · 24 조치가 취해진지 1년이 지났다. 그동안 우리 국민의 방북 및 제3국 등지에서의 북한 주민 접촉은 엄격히 제한되었다. 북한에 대한 일반물자교역과 위탁가공교역은 중단되었고, 북한 선박의 우리 해역 운항은 불허되었다. 개성공단의 가동은 허용되었지만 체류인원이 축소되었고, 신규 투자는 불허되었다. 대북 지원도 수해피해나 영유아 등 취약계층에 대한 민간의 순수한 인도적 지원 등 극히 제한적인 경우에만 허용되었다.

5 · 24 조치가 당초 취지대로 북한에 대해 경제적으로 타격을 주었음은 부정하기 어렵다. 우리 정부는 일반물자교역과 위탁가공교역의 중단으로 북한이 연간 2억 5천만 ~ 3억달러의 현금수입 감소 조치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수치 자체는 분명 논란의 여지가 있다.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다. 다만 5 · 24 조치의 간접적인 효과까지 고려한다면, 즉 5 · 24 조치가 이명박 정부 들어 중단되었던 대북 식량 및 비료 지원이 당분간 재개되기 어려울 것임을 내포하고 있음을 감안한다면 북한에 대한 경제적 제재의 효과는 상당한 수준에 달하고 있음은 부인하기 어렵다. 사실 북한 입장에서는 남한과의 일반물자교역 및 위탁가공교역의 중단에 따른 경제적 타격도 크지만, 쌀 · 비료 지원 중단에 따른 경제적 타격이 훨씬 더 크다.
목차
동향과 분석
 5·24 조치 1년과 남북경협
 개성공단의 경쟁력 분석 및활성화 방안

연구 논문
 6자회담 재개전망 및 북한의대남협상전략 분석:미·중 정상회담 이후 정세변화를 중심으로

KDI 북한경제연구협의회
 북한의 식량상황 평가

부문별 주요 기사
 - 대내경제
 - 농업 및 식량
 - 대외경제
 - 남북경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