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KDI 북한경제리뷰 2012년 9월

상세내역
저자 양문수, 장형수, 김석진, 조남훈, 이수석, 한석희, 문경연, 차문석, 한만길, 전소영
소속 및 직함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한양대학교 교수,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국방부 정책보좌관,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수석연구위원, 연세대학교 교수, 세종연구소 객원연구위원, 통일교육원 교수, 한국교육개발원 탈북청소년교육지원특임센터 소장,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원
발행기관 KDI 한국개발연구원
학술지 북한경제리뷰
권호사항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114
발행 시기 2012년
키워드 #KDI   #북한경제리뷰   #2012년   #9월   #북한체제   #북한권력개편   #북한식량난   #대북지원   #북한교육   #통일   #북한수해피해   #양문수   #장형수   #김석진   #조남훈   #이수석   #한석희   #문경연   #차문석   #한만길   #전소영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최근 북한의 개혁⋅개방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되고 있다. 외부 세계 일각에서는 북한의 이른바 6⋅28 개혁조치를 위시하여 향후 북한경제가 본격적인 개혁⋅개방으로 나갈 것으로 예측하고 있는 것 같다. 반면, 다른 일각에서는 이러한 개혁⋅개방에 대한 북한의 움직임 자체가 존재하는가에 대해 회의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섣부른 개혁⋅개방 가능성을 예단하는 것은 오히려 현재의 북한경제를 이해하는 데 장애가 될지 모른다고 우려하는 것 같다. 이에 2012년 8월 29일 KDI 북한경제연구협의회에서는 여러 전문가 분들을 모시고 “김정은 시대 북한경제의 개혁⋅개방 가능성”이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어 보려고 한다. 먼저, 2011년 말 김정일 사망 이후 현재까지의 북한경제에서 어떤 변화의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고 생각하시는지 말씀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 그리고 이와 함께 외부세계에서 최근 북한의 개혁⋅개방에 대한 이야기가 끊임없이 나오고 있는데 이러한 배경에 대해서 설명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 또한 실제로 현재 북한 내부에서 이러한 움직임이 관찰되는 것인지, 아니면 이러한 움직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개혁⋅개방 이야기가 나오는 다른 배경이 있는 지에 대해서도
여러 선생님들께서 말씀해 주시기를 바란다.
목차
동향과 분석
 김정은 시대 북한경제의 개혁·개방 가능성 | 양문수, 장형수, 김석진, 조남훈
 김정은 시대의 권력개편과 체제 변화 | 이수석
 김정은 시대의 북·중관계 | 한석희

연구 논문
 북한의 식량난과 대북지원 민간단체의 역할 | 문경연
 북한의 경기순환과 중국: 북한 롤러 코스트와 중국의 '보이는 손(visible hand)' | 차문석

북한경제연구협의회
 북한교육의 이해와 통일준비 | 한만길

경제 자료
 북한의 수해 피해와 지원 현황 | 전소영

부문별 주요 기사 (8월 11일 ~ 9월 10일)
 대내경제, 농업 및 식량, 대외경제, 남북경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