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KDI 북한경제리뷰 2013년 7월

상세내역
저자 이석, 이석기, 이종규, 김영훈, 양문수, 남진욱, 한영은
소속 및 직함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한국개발연구원 부연구위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원
발행기관 KDI 한국개발연구원
학술지 북한경제리뷰
권호사항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115
발행 시기 2013년
키워드 #KDI   #북한경제리뷰   #2013년   #7월   #북한경제   #북한군사도발   #대외무역   #북한농업   #북한시장동향   #남북경협   #북한외국인투자   #이석   #이석기   #이종규   #김영훈   #양문수   #남진욱   #한영은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글의 목적은 2013년 상반기 북한의 경제동향을 개관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일관된 ‘이야기 틀’을 구축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작업을 수행한다. 첫째, 2013년 상반기 북한의 각 분야별 경제동향의 특징들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간단히 정리하여 제공한다. 둘째, 이러한 분야별 특징들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하나의 설명가설을 구축한다. 셋째, 이들 관찰 결과와 설명가설을 토대로 2013년 하반기 및 이후의 북한경제의 움직임을 개괄적인 수준에서나마 전망한다.

물론 이러한 글의 목적은 매우 모험적인 것인지도 모른다. 북한과 같이 모든 것이 불확실하고 이용 가능한 정보마저 극히 제한된 나라를 대상으로 과연 반기별 경제동향을 작성하는 일이 가능한 것인지가 의문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솔직히 고백하자면, 이 글을 작성하는 필자 스스로가 이러한 의문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필자는 이 글이 짧은 시간의 부정확한 정보에 기초한 잘못된 관찰 결과나 부분적인 분석의 한계 그리고 의욕 넘친 해석의 과잉과 같은 부정적 결과물들로만 채워지는 것은 아닌가 우려한다. 이로 인해 필자는, 조금은 이상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이 글을 읽는 독자들에게 나름의 조심성을 기대한다. 이 글의 주장과 내용을 그대로 맹신하기보다는 오히려 이를 매우 비판적인 시각에서 독해하는 것이 우리 모두가 현재의 북한경제를 이해하는 데 보다 더 도움이 될 것이라는 뜻이다.
목차
동향과 분석 <2013년 상반기 북한경제동향>
 2013년 상반기 북한경제: 북한 군사도발의 경제적 귀결 | 이석
 2013년 상반기 실물 및 산업부문 동향 | 이석기
 2013년 상반기 대외무역 동향 | 이종규
 2013년 상반기 북한의 식량 및 농업 | 김영훈
 2013년 상반기 북한의 시장동향과 평가 | 양문수

경제 자료
 2013년 상반기 북한경제동향 관련 통계자료 | 남진욱
 북한의 외국인 투자 및 남북경협 관련 조세제도 | 한영은

부문별 주요 기사 (6월 16일~7월 20일)
 대내경제, 농업 및 식량, 대외경제, 남북경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