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2023년 북한의 대외관계 평가와 2024년 전망

상세내역
저자 최장호, 이희선
소속 및 직함 세계지역연구1센터 통일국제협력팀장, 통일국제협력팀 연구원
발행기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학술지 세계경제 포커스
권호사항 7(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15
발행 시기 2024년
키워드 #북한   #대외관계   #북중관계   #북러관계   #북일관계   #최장호   #이희선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 북한이 코로나19 종식을 공식 선언(’22. 8. 10.)하면서 2023년에는 △ 국경통제 완화, △ 외국인 관광 재개, △ 여객항공기 운행 재개, △ 해외노동자 재파견, △ 접경지역 인프라 건설 등을 추진하며 대외관계를 정상화할 것으로 예상되었음.

▶ 그러나 2023년 상반기 북중간 대외관계 정상화에 대한 원만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하반기에는 북러 군사협력 논의가 급진전되면서 북중 협력이 더 이상 진척되지 못하면서, 국경통제를 소폭 완화하는 수준에서 대외협력 정상화가 이루어짐.
- 북중 대외협력은 2023년 상반기 왕야쥔 주북 중국대사 부임(3월)을 계기로 급진전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3~5월 중 북중간에 접경지역 북한 노동자 재파견 문제, 외국인 북한 관광 재개 문제가 원만하게 합의되지 못하면서 하반기에는 북중 관계가 다소 정체되는 모습이 관찰됨.
- 북러 관계는 전승절 기념식(7월)과 정상회담(9월)을 계기로 군사협력을 중심으로 급진전되었는데, 군사협력이 경제협력으로 확대되지는 못하였음.
- 미국은 북한 핵문제의 외교적 해결에 방점을 두는 한편 북한 인권 문제를 제기하였으며, UN 안보리 대북제재 준수 문제로 중국과 러시아를 압박함.
- 북일 관계는 비공식적인 협의만 이루어졌을 뿐 실질적인 합의로 이어지지 않았음.

▶ 한편 북한의 미사일 발사, 군사 정찰위성 발사 등 도발행위가 이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UN 안보리에서 추가 대북제재 결의안이 의결되지 못하고 있는데, 중국과 러시아 측의 이견 표출이 주요 원인임.

▶ 2024년은 북중 수교 75주년으로, 태양절(4. 15.)을 계기로 북중 대외협력 재개가 다시 논의될 전망이며, 북러 협력도 군사협력을 한층 더 고도화하고자 시도할 것으로 보임.
- 다만 러시아와의 협력이 중국과의 협력을 대체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평가되므로, 2024년 상반기에는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개연성이 큼.
목차
1. 2023년 북한의 대외관계 개괄
2. 북중 관계 분석
3. 북러 관계 분석
4. 북일 관계 분석
5. 기타
6. 2024년 전망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