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북한의 기후변화 취약성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남북협력(Ⅱ)

North Korea's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nd inter-Korean cooperation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Ⅱ)

상세내역
저자 명수정, 최영은, 신상희
소속 및 직함 한국환경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건국대학교 교수, 한국환경연구원 선임연구위원(전)
발행기관 한국환경연구원
학술지 사업보고서
권호사항 2022(7(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128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기후변화   #취약성   #기후 리스크   #적응역량   #남북협력   #국제환경협력   #명수정   #최영은   #신상희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1. 연구의 배경
ㅇ 기후변화가 전 지구적으로 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
-최근 제6차 평가보고서를 제출한 IPCC는 2018년 1.5℃ 보고서 출간 당시보다 기후변화가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기후변화 대응이 시급함을 보고함
ㅇ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성이 높은 북한에서는 기후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
ㅇ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선언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논의가 진행되는 바, 북한의 기후변화 취약성을 파악하고 남북한 간 협력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2. 연구의 목적
ㅇ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심화에 따라 북한의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하고, 기후 리스크를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남북협력 방안을 도출하고자 함
ㅇ 또한 국내외 관련 동향을 조사하고 북한과의 기후변화 협력 추진 전략을 모색하여 북한의 기후변화 피해를 줄이고 남북한 모두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함
목차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기대 효과

제2장 기후변화 관련 국내외 동향과 북한의 기후변화 전망
1. 기후변화 동향과 전망
2. 기후변화 관련 국제 논의 동향

제3장 북한의 기후변화 전망과 취약성, 그리고 남북협력
1. 북한의 기후변화 영향과 기후 리스크
2. 북한 지역 기후변화 취약성 검토
3. 남북 기후변화 대응 협력

제4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부 록 85
Ⅰ. 북한의 지역별 현재 기후와 미래 기후 전망
Ⅱ.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체계
Ⅲ.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입력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