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북한의 지역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임농복합경영 모델 개발

상세내역
저자 양아람, 김은희, 박소희, 김동현, 나성준, 오삼언, 김경민
소속 및 직함 국립산림과학원
발행기관 국립산림과학원
학술지 연구보고
권호사항 22(7)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128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임농복합경영 모델   #양묘장현대화   #산불방지공동대응   #사방사업   #양아람   #김은희   #박소희   #김동현   #나성준   #오삼언   #김경민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보고는 국립산림과학원의 연구과제로 수행한 『북한의 지역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임농복합경영 모델 개발(2019~2021)」의 연구결과를 담고 있다. 남북산림협력 분과회담(2018.7.4.)에서 남북은 4가지 협력사업(양묘장현대화, 임농복합경영, 산불방지공동대응, 사방사업) 추진에 합의함에 따라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우리나라에서 기수행된 임농 복합경영 관련 연구는 북한 산림복구를 위한 적정기술 발굴 및 실행 모델 정립, 임농복 합경영 중심의 북한 산림녹화계획 연구 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 필요로 하는 임농복합경영 기술 및 전략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남북산림협력 시 활용할 수 있도록 임농복합경영의 유형별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협력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은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장은 연구 배경과 목적을 다루었다. 2장에서는 임농복합경영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 임농복합경영의 개념과 현황을 담았다. 3장은 북한 에서 임농복합경영 사업 추진 시 대상지 선정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익성 분석 및 유형별 모델을 제시하였다. 4장은 북한에서 추진한 기존 연구사례 분석을 위해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밀원 중심의 한국형 및 북한 방식 의 임농복합경영 현장 적용 연구 수행 결과를 통해 협력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문에 자세히 담지 못한 자료는 부록에 실었다.
2장에서는 임농복합경영이란 무엇이며, 일반적 및 북한에서의 정의와 추진 현황에 대 해서 소개하였다. 북한에서 임농복합경영은 2003년 8월 스위스개발협력청의 경사지관리 프로그램 제안으로 시작하였으며, 2004년 초 황해북도 수안군에 시범사업이 진행되면서 본격화되었다. 또한, 북한은 2013년 산림법 개정으로 임농복합경영의 법적 근거도 마련 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2015년부터 10년간 국가 임농복합경영 전략 및 실행계획(2015년~2024년)'이 수립되었다.
3장에서는 북한의 산림황폐지 대상 임농복합경영으로 우선 복구해야 하는 대상지 선정 기준과 적정 수종 및 작물 조합을 제시하였다. 북한의 지역특성을 고려한 임농복합경영 대상지 선정 기준을 북한의 입지특성(경사, 위치. 토심), 경영기간(단기, 장기), 생태지리(4지대 13지역 39지구) 및 복원기회매핑방법(복원기회 높은 지역 추출)에 따라 구축하였으며, 수목 30종과 작물 19종을 대상으로 북한의 임농복합경영 적정 수종 및 작물 조합 을 제시하였다. 또한, 3가지(식량 및 소득자원 생산, 에너지, 복합) 유형에 따라 시범모델 을 제작하였다.
4장에서는 북한의 주요 수출품목인 꿀의 생산 활성화를 위해 밀원 중심의 한국형 임농 복합경영(산림-양봉 복합 유형) 시범대상지를 수원에 조성하고, 그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북한 방식의 임농복합경영(식량 및 소득자원 생산 유형) 현장 적용 연구를 수행하 였으며, 북한에서 임농복합경영 사업을 실제로 추진한 세계혼농임업센터(ICRAF)와 국제 공동연구를 추진하였다. 이를 통하여 북한이 필요로 하는 임농복합경영 협력 방안 및 전략을 제시하였다.
북한은 임농복합경영을 황폐화된 산림을 복구하면서 동시에 식량을 생산할 수 있는 황 금산 만들기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환경보호와 지속가능한 경제개발에 기여한다고 판단하여 국가적 규모로 힘쓰고 있다. 이에 본 연구과제의 결과는 남북산림 협력 임농복합경영 분야 협력 시 북한의 임농복합경영 대상지 선정 및 조성 기술, 전문가 능력배양 및 역량강화에 활용 가능하며. 이를 통해 북한의 식량안보 및 재난 경감 목 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_7
제1장
서론_9
제2장
임농복합경영의 개념_13
1.혼농임업의 정의_14
가.일반 정의_14
나.북한 정의_15
2.북한의 임농복합경영 추진 현황_16
가.시범사업 도입_16
나.시범사업 성공 및 장애 요인_18
3.북한의 임농복합경영 전략 및 실행계획(2015~2024)수립_19
가.추진 배경_19
나.실행계획 적용_21
다.목표_22
제3장
북한의 임농복합경영 기반 구축_25
1.임농복합경영 대상지 및 수종 작물 선정 기준_26
가.임농복합경영 대상지 선정 기준_26
나.임농복합경영 적정 수종 및 작물_38
2.임농복합경영 수익성 분석_43
가.임농복합경영단지 수익성 분석 체계_43
나.비용효과 분석을 위한 임농복합경영 수종 및 작물 조합 선정_46
다.임농복합경영 비용효과 분석_51
3.유형별 임농복합경영 시범모델_53
가.임농복합경영 유형 구분_53
나.임농복합경영 유형별 시범모델_57
제4장
북한의 임농복합경영 협력전략 수립_61
1.임농복합경영 시범 조성_62
가.한국형 임농복합경영_62
나.북한 방식의 임농복합경영_71
2.임농복합경영 국제공동연구_75
가.북한의 임농복합경영 실태조사 및 기술협력 방안_75
3.임농복합경영 협력전략_79
가.북한 임농복합경영 사업의 주요 성과_79
나.북한이 필요로 하는임농복합경영 협력 방안_79
다.북한의 필요성을 고려한 임농복합경영 분야 협력전략_80
제5장
결론_81
참고문헌_85
부록_91
부록1. 북한의 임농복합경영 전략 및 실행계획(2015~20204)_92
부록2. 국제공동연구 결과보고서_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