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북한 대외 채무의 쟁점과 과제: 국제 규범과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상세내역
저자 최유정, 한하린
소속 및 직함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 신북방경제실 통일국제협력팀 전문연구원, 전문연구원
발행기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학술지 연구자료
권호사항 21(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142
발행 시기 2021년
키워드 #북한   #대외 채무   #국제 규범   #해외 사례   #경제통합   #북한경제   #최유정   #한하린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한은 세계 각국에 채무를 가지고 있지만 1984년 모라토리엄 선언 이후 이렇다 할 입장을 보이지 않았다. 채무 이자 누적으로 그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2012년에는 러시아가 북한의 구소련에 대한 대규모 채무를 개발 재원 전환 방식(Debt for Development)으로 탕감해 줌에 따라 북한의 대외 채무 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2018~19년 북미 관계가 급속도로 진전된 경험에 비추어 봤을 때, 북한이 개혁개방의 의지를 피력하고, 북·미 관계가 전환점을 맞이하는 경우 북한의 대외 채무에 대한 논의 역시 급속도로 진전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북한의 대외 채무 문제는 2021년 한반도의 당면 과제는 아니지만 한국이 중장기적으로 결국 직면하게 될 주요한 경제·외교적 사안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북한의 대외 채무 문제 현황을 파악하고, 대외 채무 관련 국제 규범과 해외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한반도 상황 변화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하에서 북한의 대외 채무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과제와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북한 대외 채무 문제 현황과 관련 국제 규범, 해외 사례, 그리고 해소 방안 및 정책 대안을 새로운 관점에서 검토·모색하고 관련 내용을 종합적으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와 차별점이 있다. 먼저, ① 북한의 대외 채무 규모 파악하고 ② 채무 해소에 관한 국제 규범을 살펴본 후 ③ 통일과 경제통합(남북한 공존)의 시나리오에 따른 북한 대외 채무 해결 방향 ④ 향후 북한의 체제전환과 남북한 경제통합 과정에서의 정책 과제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2010년대 후반까지 북한 대외 채무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통일과 국가 승계의 관점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 연구는 국가 승계를 다루기는 하지만, 국가 공존의 상황에서 야기되는 이슈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남북 관계가 개선되고, 북핵 문제가 진전을 보이는 등 북한이 대외 관계 정상화를 통해 정상 국가화를 추진하는 상황에 대비하여 우리 정부가 대북 정책을 수립하는 데에 주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
3. 연구의 범위와 주요 내용

제2장 북한의 대외 채무 현황
1. 대외 채무의 개념과 유형
2. 북한의 대외 채무 현황
3. 북한 대외 채무 평가와 한계

제3장 대외 채무 관련 국제 규범과 쟁점
1. 다자간 채무 조정: 파리클럽과 런던클럽
2. 국가 승계와 채무 조정
3. 국제 규범과 관련된 쟁점

제4장 대외 채무 해소 사례
1. 체제전환국 사례: 베트남, 미얀마
2. 국가 통합 사례: 독일, 예멘
3. 채권국 사례: 중국

제5장 북한 대외 채무 해소와 과제
1. 북한에 주는 시사점
2. 북한 대외 채무 해소 시나리오와 과제
3.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