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북한의 국제경제 편입을 위한 남북경협 및 대북협력 방안

상세내역
저자 이석, 김규철, 김병연, 김두얼
소속 및 직함 한국개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연구위원, 한국개발연구원, 명지대학교
발행기관 한국개발연구원
학술지 연구보고서
권호사항 2019(8)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291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남북경협   #대북정책   #통일정책   #북한경제   #이석   #김규철   #김병연   #김두얼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글에서는 한국경제 또는 남북경협의 시각에서 앞으로 북한이 본격적으로 국제경제에 참여하는 것에 대한 의미와 시사점들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현재의 북한경제가 일반적인 시장경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국제경제에 참여하는 여러 다른 나라들의 경제체제와 어떻게 다른지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북한의 국제경제 참여의 개념과 내용, 그리고 과정을 살펴보며, 북한에 참고가 될 수 있는 유사한 여타 국가들의 국제경제 참여 및 이의 효과에 대한 역사적 사례 연구 역시 실시하고, 이들 모두를 토대로 국제경제에 참여하는 북한의 발전잠재력 역시 검토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이 글의 본문은 먼저 서로 독립적이지만 동시에 밀접히 연계되어 있는 네 개의 개별적 논문들이 각각 한 개의 장을 구성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대의 세계경제를 구성하는 개별 국민경제를 경제적 정상국가라는 개념으로 구체화하여 북한의 국제경제 참여를 개념적으로 이해하는 동시에 이에 연관된 제반 요소들을 살펴보는 논문(제2장), 북한과 관련한 각종 경험적인 통계 데이터를 토대로 현재의 북한경제가 앞서의 경제적 정상국가와 얼마나 다른지를 토론하는 논문(제3장), 과거 저개발국들이 국제경제에 참여하는 경우 나타난 특징적 현상들에 대해 역사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는 논문(제4장), 그리고 북한의 자본, 노동, 생산성이라는 생산요소와 비교우위라는 개념 등을 통해 국제경제에 참여하는 북한경제의 성장잠재력을 평가하는 논문 등이 그것이다(제5장). 그리고 이러한 개별 논문의 논의 결과들을 모두 집대성하여 북한의 본격적 국제경제 참여와 관련된 한국사회의 대북정책 또는 남북경협에 대한 시사점들을 살펴보는 별도의 논의 역시 시도한다. 이러한 정책적 논의는 이 글에 참여하는 모든 연구진들의 집체적 토론을 통해 작성되어 이 글의 최종 결론을 대신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경제적 정상국가화: 개념과 논의
 제1절 경제적 정상국가의 정의
 제2절 경제적 정상국가화
 제3절 자본주의로의 체제이행
 제4절 국제금융기구 가입
 제5절 인적자본의 개발
 제6절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제3장 북한은 경제적 정상국가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나?
 제1절 머리말
 제2절 체제이행국 및 저개발국의 경제성장 요인
 제3절 경제정상화 및 경제통합과 관련된 지수 연구
 제5절 맺음말
 참고문헌

제4장 개방과 경제발전: 동향과 사례 분석
 제1절 서론
 제2절 개방과 경제성장: 개괄
 제3절 사례연구
 제4절 대한민국: 1953~80년
 제5절 북한경제에의 시사점
 제6절 결론
 참고문헌

제5장 북한의 국제경제 참여와 성장잠재력 평가: 분석과 시사점
 제1절 머리말
 제2절 생산함수적 접근―자본, 노동, 그리고 생산성
 제3절 비교우위적 접근―경쟁력 산업
 제4절 평가
 제5절 맺음말
 참고문헌
 부 표

제6장 결론과 정책적 시사점
 제1절 북한경제의 발전모형 확립을 유도하는 대북정책과 남북경협
 제2절 북한의 국제금융기구 가입을 지원하는 대북정책과 남북경협
 제3절 동북아의 국제분업구조 속에서 제대로 기능하는 남북경협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KEI 북한환경동향 2019년
이전글 2020년 북한경제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