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미중 경쟁 시기 중동과 중국의 협력: 평가와 함의

상세내역
저자 장지향, 신문경, 김지연
소속 및 직함 지역연구센터, 오리건 대학교 정치학 박사과정, 연구부문
발행기관 아산정책연구원
학술지 아산리포트
권호사항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60
발행 시기 2024년
키워드 #미중   #경쟁   #시기   #중동   #중국   #협력   #평가   #함의   #장지향   #신문경   #김지연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중동에서 중국은 새로운 행위자이지만 최근 적극적인 경제·외교 활동을 선보이며 존재감 을 드러내고 있다. 2013년 중국이 일대일로(一帶一路, One Belt One Road) 전략을 발 표해 중동이 핵심 교두보 지역으로 부상하고 비슷한 시기 미국이 ‘아시아 중시 정책’을 선 언해 중동 내 미국 공백이 예상되면서 중동과 중국은 빠르게 협력을 다졌다. 중동의 주요 국과 중국 간의 협력은 에너지 분야를 중심으로 한 경제 관계를 넘어 외교와 안보 관계로 확장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 10여 년간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이스라엘, 튀르키예, 아랍 에미리트(UAE), 카타르 등 중동 주요국과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었다. 특히 버락 오바 마(Barack Obama) 정부와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정부에 이어 조 바이든(Joe Biden) 정부 시기에 들어와 미국이 ‘중동 내 역할 축소’를 가속하자 중국은 중동 지역 내 투 자를 강화하고 과학기술, 정치,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동반자 관계를 다졌으며 군사협력 까지 시도하는 등 영향력을 확대했다. 미국의 탈중동 움직임에 중국이 빠르게 틈새를 노림 에 따라 미국과 중국 간의 글로벌 경쟁이 중동에서도 심화하는 양상이다.
목차
I. 들어가며

II. 중동의 대중국 협력 강화: 배경과 평가
1. 셰일 혁명 이후 독보적 수출 대상국이자 산업 다각화 정책의 핵심 경제협력국
2. 미국의 ‘역할 축소론’ 이후 외교 안보 다변화의 주요 대상국
3. 아랍 세계의 미중 호감도 분석

III. 중국의 중동 진출 심화: 배경과 평가
1. 일대일로 정책 성공을 위한 전략적 교두보
2. 미국의 탈중동 시기 안정적 입지 확보: 디지털 및 군사협력 강화
3. 중국의 수니파-시아파 갈등 중재와 중동 갈등의 중재자로서의 평가

IV. 나가며: 중동과 중국의 협력 강화가 한국의 중동정책에 주는 함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