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일본의 대한국 공공외교와 한일관계:한일인적교류 천만 시대의 딜레마

상세내역
저자 최은미
소속 및 직함 지역연구센터
발행기관 아산정책연구원
학술지 아산리포트
권호사항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98
발행 시기 2024년
키워드 #일본   #대한국   #공공외교   #한일관계   #한일인적교류   #천만   #시대의   #딜레마   #최은미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한일관계의 개선 속 민간교류가 다시 활성화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와 일본정부관광국 통계에 따르면, 2023년 한 해 동안 일본을 방문한 한국인 관광객은 약 695만여 명으로 일본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의 27.8%(1위)를 차지하며, 같은 기간 한국을 찾은 일본인 관광객은 212만여 명으로 전체 방한 외국인 관광객의 21.2%(1위)를 차지했다. 한일 양국은 머지않아 2018년에 이은 제2의 인적교류 천만 시대를 맞이할 것이고, 양국은 민간교류 정상화에 축포를 올릴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한일 민간교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일본의 상호인식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 양상이다. 최근 한일관계 개선의 흐름 속에서 일본의 대한국 인식과 한국의 대일 인식이 다소 상승하는 추세도 나타나지만, 여전히 양국의 상호인식은 긍정보다는 부정에 더 가깝다. 특히, 한국의 대일 인식은 과거 수십 년간 줄곧 부정인식이 긍정인식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일 인적교류 천만 시대를 이끌어온 한국인이지만, 일본 방문의 증가가 곧 대일 인식 변화로 이어지지는 않았다는 의미이다.  
목차
I. 연구배경

II. 한일교류의 현황과 한국의 대일 인식
1. 한일교류의 현황
2. 한국인의 대일 인식과 해외에서의 일본에 대한 국가이미지
3. 교류와 인식의 상관관계, 그리고 국가이미지

III. 일본의 공공외교
1. 공공외교란
2. 일본의 공공외교: 전후 일본 공공외교의 시작과 역사적 전개 과정
3. 일본의 공공외교: 목표, 추진체계, 시행주체, 주요활동
4. 일본의 공공외교: 유형과 주요활동
5. 일본의 공공외교: 특징과 함의

IV. 일본의 대한국 공공외교: “일본의 공공외교는 왜 한국에서 성공하지 못했을까?”
1. 일본의 대한국 공공외교: 주요 추진기관 및 활동
2. 일본의 대한국 공공외교: 특징과 한계

V.한국에의 함의 및 정책적 고려사항

【별첨 1】 한일 정부 주관/지원 주요 교류사업

【별첨 2】 한국 내 일본 관련 주요 기관 및 단체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