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2025 아산 국제정세전망

상세내역
저자 최강, 차두현, 한기범, 피터 리, 이동규, 최은미, 이상준, 장지향, 이재현, 최진우, 신소현, 양욱, 이승주, 김흥종, 정구연
소속 및 직함 아산정책연구원 원장, 수석연구위원, 객원선임연구위원, 연구위원, 국민대학교 교수, 한양대학교 교수, 중앙대학교 교수, 고려대학교 특임교수(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아산정책연구원 객원연구위원(강원대학교 교수)
발행기관 아산정책연구원
학술지 아산리포트
권호사항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154
발행 시기 2024년
키워드 #2025   #아산   #국제정세전망   #최강   #차두현   #한기범   #피터 리   #이동규   #최은미   #이상준   #장지향   #이재현   #최진우   #신소현   #양욱   #이승주   #김흥종   #정구연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2010년대 이후 이루어지고 있는 세계질서 재편은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고, 주요국 간 경쟁과 각축 그리고 이에 대한 다른 국가들의 대응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현상을 하나의 주제로 설명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어떤 이들은 오늘날의 세계를 ‘新냉전(New Cold War)’으로 규정하는가 하면, 앞이 보이지 않는 ‘대격변(Turbulence)’으로 정의하기도 합니다. 전통 안보에 대한 관심 외에도 기후변화, 감염병, 공급망 안정 등 ‘신흥안보(Emerging Security)’, ‘경제안보(Economic Security)’ 분야 이슈들이 강조되기도 합니다. 이와 같이 우리가 10여 년 이상 지켜보고 있는 국제질서는 다양한 특징이 어우러져 나타나고 있고, 그 미래를 전망하고 예측하는 일도 그만큼 어려워졌습니다. 그러나 어느 시각에서 현대 국제관계를 바라보든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주요국(dominant power)이 자국을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 유지 혹은 새로운 질서 구축, 권위 있는 국제적 조정장치의 부재, 그리고 많은 국가들을 고민하게 만드는 선택의 문제 등일 것입니다. 이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설명하는 일은 지구촌의 오늘과 내일을 바라보는데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목차
■ 서문
■ 총론: 서로 다른 ‘리뉴얼(Renewal)’ 구상의 각축
■ 동북아: 주요국 ‘리뉴얼’의 집약
■ 분위기 반전을 노리는 북한
■ 일방주의로 가는 미국의 ‘리뉴얼’
■ 글로벌 영향력 확대로 미국의 리더십 대체를 꿈꾸는 중국
■ 새로운 시작의 기회와 도전의 기로에 선 일본
■ 러시아: 다극적 세계질서 추구와 부족한 역량 제고 노력
■ 중동 질서 ‘리뉴얼’: 전쟁 후 새 역내 질서 설계를 향한 경쟁
■ ‘리뉴얼’이 필요한 아세안과 동남아
■ 유럽: 불확실성의 시대, 쇄신을 위한 리더십의 모색
■ 사이버: 최소한의 공통분모 확보를 위한 노력
■ 새로운 군비경쟁: 수요 증가 속 국방공급망 재편
■ 경제안보 전략과 공급망 재편의 구체화
■ 일련의 충격에 따른 혁신적 국제무역체계 변화 가능성
■ 인도-태평양: 전략공간의 분절화 및 힘의 공백 등장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