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전략경쟁의 장기화와 구조화 속에서 미국, 중국, 한국 3국은 동맹과 파트너십의 상호작용 속에서 자국의 국익과 가치를 극대화하는 길을 모색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런데 삼국 간의 상호 이해가 부족해 서로의 취약성을 공격하는 단기적 전략만을 수립하고 협력과 경쟁의 공간에 대한 장기 전략이 결여된 상태에 있어 상호 간에 잠재적 비용을 극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미·중 삼각관계를 다차원적 매트릭스로 개념화하는 접근법이 논의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미국, 중국 삼각관계의 복잡성에 대해 논의하면서 상호의존과 충돌의 지점을 살펴보는 데 있다. 한·미·중 삼각관계에서 나타나는 역학관계의 복잡성은 삼국 관계의 발전 가능성을 제한하고 전략 수립의 난이도를 높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미·중 삼각관계를 이루고 있는 세 양자관계의 상호작용만 분석하는 것을 통해서는 입체적인 분석이 어렵다는 문제의식하에 출발한다. 단순히 양자관계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는 서로에 대한 기대(demand)와 핵심 이익에 대한 고려로 인한 갈등을 제시하는 것을 넘어서서 삼자관계를 하나의 단위로 파악함으로써 입체적이고 삼차원적인 분석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교집합을 넓히고 차집합을 좁히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해 미국과 한국이 지향해야 할 바이다. 한국은 미국과의 교집합을 넓히고 중국과의 차집합을 좁히는 전략적 방향을 추구해야 한다. 이를 통해 미국과의 신뢰관계를 강화하고 중국과 공존하는 공간을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한·미 관계의 교집합이 넓어지면 한·중 관계의 위기가 증대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추세이지만, 상호 간의 핵심 이익과 레드라인을 파악하며 한·중 간의 교집합을 확대하다 보면 미·중 전략경쟁의 틈새와 공존의 공간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In the context of the prolonged and structured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the three countries which we examine - the United States, China, and the Republic of Korea (ROK) - must find ways to maximize their respective national interests and value. Nevertheless, due to a lack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three countries, they are focusing on attacking each other’s vulnerabilities rather than on long-term strategies for cooperation and competition, thus maximizing their costs. This study is motivated by the need to discuss an approach that conceptualizes the U.S.-China-ROK triangle as a multi-dimensional matrix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points of conflict and interdependence within the tr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s the dynamics in the trilateral relationship become more complex, progress can be limited and strategic planning becomes more challenging. Thus, this study begins with the premise that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ree-dimensional analysis by examining only the interaction of the three bilateral relationships that form a triangle. In addition to demonstrating the demand for each other, as well as conflicts that may result from consideration of core interests in the interaction of bilateral relation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stereoscopic and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rilateral relations as a whole.
Building upon this study, the United States and Republic of Korea should work in the direction of expanding their intersecting areas while reducing areas of divergence. The ROK’s strategy should be to increase convergence with the United States and decrease divergence with China. By doing so, it can expand the space for coexistence with China and strengthen its trust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With the intersection of the U.S.-Korea relationship expanding, it is natural for crises in the Sino-Korea relationship to arise, but there are gaps and places of coexistence within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if the parties understand each other’s priorities and red lines and expand the intersections within Korea-China relations.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